기재부 제11차 재정관리점검회의
소상공인 지원금 11월 이의신청
상생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 이의신청이 지난 23일 오후 6시 기준 19만500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금은 24일 기준 4060만명에게 7조9000억원이 지급돼 지급률은 91.7%를 기록했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1차 재정관리점검회의를 주재해 1·2차 추가경정예산 집행실적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사업 추진상황을 살폈다. 더불어 4분기 재정집행관리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안 차관은 “올해 1·2차 추경예산 집행을 위해 모든 부처와 지자체가 혼연일체가 돼 노력한 결과 당초 계획한 집행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3월 확정한 1차 추경은 6개월 동안 관리대상사업 예산의 90.6%를 집행했다.
이 가운데 소상공인 버팀목 플러스 등 현금지원사업은 지급대상 377만명에게 5조3000억원을 지급해 사업을 완료했다.
인건비 보조 등 분할 집행하는 일자리 사업은 71.3%인 1조8000억원을 집행했다.
2차 추경은 7월 이후 2개월 동안 관리대상 20조9000억원 가운데 15조7000억원(75.3%)을 집행했다.
상생국민지원금은 8조6000억원 가운데 7조9000억원을 지급해 4060만명이 받았다.
가구 구성 변경과 지역가입보험자 기준소득 보정 등 지급대상에 대한 정보가 수정되지 않아 발생한 오류 등에 대한 이의신청은 23일 기준 19만5000건에 달했다.
안 차관은 “합리적 근거가 있다면 (이의신청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불명확한 부분은 국민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심사해 최대한 구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4조2000억원은 179만명에게 3조9000억원(92.4%) 지급했다. 30일부터는 공동대표와 사회적기업 등을 대상으로 확인지급을 시작하고 11월 중으로 이의신청을 받아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소상공인 손실보상은 법령 시행일인 8일 손실보상심의위원회 개최 등을 통해 지원대상과 손실보상 기준 등 세부지침을 마련·고시한다. 이후 개별 소상공인 신청을 받아 내달 말부터 지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상생소비지원금 7000억원은 현재 카드사 통합시스템 구축과 사업안내, 홍보를 위한 홈페이지 개설 등 집행 준비를 완료했다.
이 밖에 고용·민생안정 2조3000억원, 지역경제 활성화 3000억원 등 여타사업은 6조원 가운데 3조3000억원을 집행했다.
방역 관련 사업 12조7000억원은 8조7000억원이 집행돼 68.5%의 집행률을 보였다. 안 차관은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 확충과 진단검사비 지원 등 사후정산 방식은 사전 행정절차를 신속히 이행해 현장에 자금이 적기에 교부될 수 있도록 당부했다.
안 차관은 “남은 4분기 재정 운용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달성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면서 코로나19 4차 확산 및 방역 조치 연장에 따른 소상공인 피해지원, 취약계층 고용 확대 등 민생경제 활력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며 “부처별로 예산 이‧불용 최소화 계획을 신속히 마련하고 사업별 집행점검체계를 구축해 역대 최고 수준의 재정 집행률 달성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