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환경부, 야생 멧돼지 ASF 확산 저지 긴급 대책 추진


입력 2025.04.03 11:27 수정 2025.04.03 11:27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산불 사태 따른 ASF 확산 차단

야생 멧돼지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경북 산불 피해지역 일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리를 위해 ‘봄철 야생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긴급 대책은 경북 의성, 청송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야생 멧돼지 서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폐사하면서 ASF가 확산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봄철은 야생 멧돼지 출산 시기로 개체수가 증가하고, 본격적인 영농 활동과도 겹치면서 위험이 확대될 수 있어 긴급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ASF 확산 저지선dls 경북 구미·김천시, 칠곡·청도군과 충북 옥천·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야간에도 야생 멧돼지 식별이 가능한 열화상 무인기(10대)와 위치정보시스템(GPS)을 부착한 포획 틀(1500개)을 전략적으로 재배치한다. 또한 5곳의 먹이터 조성으로 야생 멧돼지를 유인해 집중 포획한다.


사람 출입이 어려운 구간에는 사람보다 특수 훈련을 받은 탐지견 12마리를 투입해 폐사체를 효율적으로 수색해 오염원을 제거한다.


환경부는 지난달 29일부터 3일간 경북 지역 일대 차단 울타리를 긴급 점검했다. 화재로 인한 훼손 여부 등 추가 정밀 점검을 통해 유지·보수할 예정이다.


또한 농사철을 맞아 농식품부와 함께 양돈 농가 주변 농경지 토양, 물 등의 환경 시료를 채취·분석해 ASF 바이러스 전파 요인이 있는지 사전 점검한다.


인위적 전파 가능성이 있는 수렵인, 사냥개, 총기, 사체 보관 창고 등 매개체에 대한 집중 감시와 공동 역학조사를 강화한다.


양성 매몰지는 얼었던 땅이 녹고 지반이 약해지면서 오염원 배출 우려가 있어 침출수 유출, 유실·붕괴 여부 등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야생 멧돼지 포획 후 시료를 일정 기간 모았다가 한꺼번에 의뢰하거나 시료를 나눠서 포상금을 중복으로 신청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야생멧돼지 ASF 표준행동지침’을 개정할 계획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대규모 산불과 본격 영농 활동 등으로 질병 전파 위험이 커질 수 있다”라면서 “과학적 기법 도입 등 맞춤형 대책을 추진애 산불로 인한 야생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