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습지의 날 맞아 정책 논의
환경부는 2023년 ‘세계 습지의 날’을 기념하고 습지 보전‧관리 정책 이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6일부터 이틀간 경북 문경시 STX리조트에서 민·관·학 합동 연찬회를 개최한다.
세계 습지의 날은 1971년 2월 2일 람사르협약이 체결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 협약 상임위원회에서 1996년에 지정했다. 2021년 8월에 유엔(UN) 지정 국제 기념일이 됐다.
올해 습지의 날 주제는 ‘바로 지금, 습지를 되살릴 시간’이다.
환경부는 “습지는 지구 표면적의 6%에 불과하지만 세계 생물종 약 40%가 사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며 식량안보, 재해 예방, 기후조절에 이르기까지 인류에게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람사르협약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세계 습지 35%가 사라졌다. 습지에 의존하는 생물종 25%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이번 연찬회에는 습지 분야 전문가, 지역주민, 지자체, 민간단체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습지 보전·관리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환경부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추진하는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소개한다. 민간단체와 지방자치단체는 그동안 지역사회 습지 보전·관리, 현명한 이용 노력을 공유한다.
또한 이창석 서울여대 교수의 국내 습지 복원 사례 및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 4명의 습지 전문가 발제 및 참석자 전체 토론이 예정돼 있다.
17일에는 워크숍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문경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생태탐방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문경돌리네 습지는 수량 유지가 어려운 석회암지대에 형성된 산지습지다. 지형·지질학적 보전가치가 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해 2017년에 환경부가 23번째 국가 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이번 연찬회를 통해 민·관·학이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고, 습지 보전·복원을 위한 실천이 지역사회 곳곳으로 확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