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38노스 "영백 핵시설에서 연기…플루토늄 추출 여부 불확실"


입력 2021.03.13 17:17 수정 2021.03.13 17:17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영변 핵시설 내 발전소에서 증기 관측

방사화학실험실에 열과 증기 공급하는 시설

플루토늄 추출 혹은 폐기물 처리 가능성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회의실에서 열린 제1차 시·군당책임비서강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조선중앙TV 캡쳐/뉴시스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일부 재가동한 정황이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통해 핵무기에 필요한 플루토늄을 추출하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2일(현지시각)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영변 핵시설 내 석탄 화력 증기 발전소가 2년 만에 다시 가동된 정황을 포착했다며 지난 10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38노스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는 방사화학실험실(RCL)에 증기를 공급하는 시설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일 사이 발전소 굴뚝에서 여러 차례 연기가 뿜어져 나왔다. 방사화학실험실은 사용된 핵연료를 재처리해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곳이다.


다만 시설 재가동의 목적은 확정하지 않았다. 38노스는 "핵무기에 필요한 플루토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를 준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면서도 "단순히 시설이 방사성 폐기물 처리를 준비 중이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에는 우라늄 농축공장(UEP)에서도 재가동 정황이 발견된 바 있다. 원심분리기 농축시설 남서쪽 이산화 우라늄 생산 건물에서 연기와 증기가 올라오는 모습이 포착된 것. 우라늄 역시 농축 수준을 높이면 핵폭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지난 1일 이사회 보고에서 "북한의 핵 활동이 여전히 IAEA의 심각한 우려로 남아있다"며 "북한의 핵 프로그램 지속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으로 심히 유감스럽다"고 우려한 바 있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계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