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회 유화적 접근 가능성 낮아"
中, 北 '지렛대' 삼아 美 견제할 수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년 1월 개최를 예고한 제8차 노동당대회를 마치고 중국을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로 바이든 행정부 출범이 확실해진 상황에서도 미 대선 결과에 '침묵'하고 있는 북한이 대외전략을 구체화하기보단 전통 우방국에 기대 상황을 관망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29일 '2021 아산 국제정세전망' 간담회에서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 노선을 지켜보는 쪽으로 갈 것 같다"며 "1월 초 북한이 열심히 움직여볼 텐데 8차 당대회를 끝내고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이나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018년 미국과의 본격적인 협상에 앞서 중국을 두 차례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동한 바 있다.
차 수석연구위원은 "분명히 얘기할 수 있는 건 (내년) 1월에 8차 당대회가 진행되겠지만 여기서 북한이 먼저 유화적 자세를 표명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내부적으로 경제를 추스르기 위한 여러 동원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대북제재·코로나19·수해 '삼중고'에 시달려온 북한이 당면한 경제·보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출구전략'으로 중국을 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북한으로선 정상 간 친분을 유지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낙선으로 북미관계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중국이라는 '뒷배'를 대내외 각인시키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효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역시 신냉전 양상을 띠는 미중 경쟁구도 속에서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북한을 적극적으로 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1년여 동안 북한과의 불법 석탄 거래를 사실상 용인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위성사진과 미국 국무부 고위 관료 인터뷰를 바탕으로 북한 선박들이 중국 닝보-저우산으로 수백 차례 석탄을 실어 나른 정황이 파악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올 9월까지 석탄 410만 미터톤을 수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금액으로 환산했을 때 3억3000만∼4억1000만 달러(약 3585∼4455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이날 펴낸 '아산 국제정세전망 2021' 보고서에서 "북한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되면서 그동안 위축되었던 불법 환적을 통한 석탄 수출을 확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국 또한 바이든 행정부에서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중갈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