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박원순 피해자측 "서울시 조직적 범죄…조사 주체 될 수 없다"


입력 2020.07.22 11:49 수정 2020.07.22 12:58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서울시 합동조사단 조사위원 추천요구 일축

국가인권위원회의 긴급조치와 조사 요청

"은폐·비호 조직적 범죄…비서실장 책임져야

고소시점 이후 박원순 통화내역 밝혀져야"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고소인 측인 고미경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와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변호사, 송란희 한국여성의전화 사무처장,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이 22일 오전 서울 모처에서 '서울시장에 의한 위력 성폭력 사건 2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의 위력에 의한 성추행 혐의 피해자 측이 2차 기자회견을 열어 합동조사단 구성을 시도하는 서울시청의 조사위원 추천 요구를 일축하며, 국가인권위원회가 나서서 조사해달라고 요구했다.


박원순 전 시장의 위력에 의한 성추행 혐의 사건은 서울시청의 조직적 은폐·비호 범죄이기 때문에, 서울시는 책임을 져야할 주체일 뿐 조사에 나설 주체가 되지 않는다는 이유다. 피해자 측은 고소 사실이 피고소인인 박 전 시장에게 실시간으로 유출된 책임을 묻기 위해, 고소 시점 이후부터 박 전 시장의 통화내역 등이 공개돼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박원순 전 시장 성추행 피해자 측은 22일 오전 서울 모처에서 2차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시는 책임 주체일 뿐, 조사 주체가 아니다"라며 "국가인권위에 의한 긴급조치와 조사가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합동조사단 조사위원 추천 요구는 거절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피해자 측은 박 전 시장의 위력에 의한 성추행 혐의 사건은 "박 전 시장을 넘은 (서울시 등에 의한) 범죄"라며 "권력에 의해 은폐되고 비호된 조직적 범죄"라고 강조했다.


성추행 피해 사실을 호소한 피해자에게 서울시청 관계자가 "예뻐서 그랬겠지"라고 하는가 하면, 추가적인 피해를 피하기 위해 인사 이동을 요구하는 피해자에게 "시장으로부터 직접 허가를 맡으라"고 하기까지 했다는 사실이 폭로됐다. 피해자 측은 이같은 일을 폭로하며 박 전 시장의 비서실장이 조직범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피해자 측은 수사기관을 향해서는 피해자의 고소 사실이 피고소인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된 경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며 "고소 시점 이후부터 박원순 전 시장의 통신 내역을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성추행 2차 피해에 대한 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