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저평가 코스닥 집중투자 3000억원 펀드 조성"
코스닥 시장 활성화 위한 현장간담회 참석
"상장 제도 개편…자본잠식 요건 등 폐지"
정부가 저평가된 코스닥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또 현재 코스닥본부장이 겸임하고 있는 코스닥위원장을 외부전문가로 분리선출하고 코스닥위원회 구성을 민간 중심으로 확대·개편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코스닥 시장 자율성과 독립성을 제고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코스닥본부장에게 위임돼 있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심사와 상장폐지심사 업무를 코스닥위원회가 실질적으로 심의·의결하도록 코스닥위원회 권한을 대폭 강화하겠다"며 "거래소의 책임성 강화에 맞춰 코스닥 본부의 예산·인력에 대한 자율성도 제고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최 위원장은 코스닥 시장에 기관투자자들이 더욱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에 나서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거래소와 예탁원 등 증권 유관기관이 3000억원 규모의 코스닥 성장(Scale-up) 펀드를 조성해 저평가된 코스닥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등 자본시장의 중추적 기관으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코스피와 코스닥을 종합한 대표 통합지수를 개발하고 새로운 지수에 기반 한 상장지수펀드 등 다양한 상품의 출시를 적극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기업의 원활한 코스닥 상장을 지원하기 위해 상장 제도를 기업의 성장잠재력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겠다고 전했다.
최 위원장은 "그 동안 혁신기업의 상장을 일률적으로 차단해 왔던 계속사업이익 요건과 자본잠식 요건을 폐지하겠다"며 "세전이익이나 시가총액, 자기자본 등 하나의 요건만 충족하면 상장이 가능하도록 단독 상장요건을 신설하는 등 상장요건을 다변화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상장요건 완화 등 사전적 규제 완화로 시장의 신뢰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사후규제 장치 강화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부실상장기업이 조기에 적발돼 퇴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장주관사의 이해상충 문제와 투자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예수 의무를 확대하고 제재 기준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