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손해보험협회장·11개 보험사 대표와 오찬간담회
IFRS17 대비 강조…상품 자율화에 따른 책임 강화 당부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보험사 수장들을 향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새 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또 상품 자율화를 둘러싼 비판 여론에 우려를 나타내면서 보험사들의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기도 했다.
진 원장은 17일 생명·손해보험협회장을 비롯, 11개 보험회사 대표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최근 보험 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향후 대응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진 원장은 현재 보험업계가 대내외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산업의 성장 둔화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우선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과 트럼프 정부 출범,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가능성 등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시장금리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며 금리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진 원장은 "보험사는 금리 상승 시 평가손실로 인식되는 금리부 자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최근과 같이 금리가 빠른 속도로 상승할 경우 지급여력(RBC)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필요 시 이익 내부유보 등 재무건전성 제고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또 새로운 회계기준인 IFRS17 시행을 앞두고, 당국과 보험업계가 함께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당부했다.
진 원장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최종 기준서를 올해 상반기에 채택하기로 하는 등 IFRS17 시행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감독당국은 보험업계가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책임준비금 적정성 평가제도와 RBC제도 개선 등 IFRS17 연착륙 방안을 상반기 중에 마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IFRS17 시행 준비는 보험업계의 자발적 노력 없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며 "보험사는 다양한 자본 확충 방안을 통해 자본잠식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이를 계기로 상품개발과 영업, 리스크관리 등 경영전반의 혁신에도 전력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보험 상품 자율화에 따른 책임 원칙을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진 원장은 "상품 자율화는 보험사들의 상품 개발 경쟁 활성화를 통한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시장경쟁 촉진이 목적"이라며 "사업비 절감과 같은 철저한 비용관리를 통해 경쟁력 확보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보험사가 소비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이익에만 몰두한다는 외부의 비판이 지속될 때, 보험 산업 전체가 새로운 역풍에 휘말릴 수 있다"며 "자율성 확대에 따른 보험회사의 책임 있는 상품개발 문화를 정착시키고, 소비자 피해예방을 위해 감독당국은 물론 보험업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