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개성공단 재가동 10일 2차회담서 재논의


입력 2013.09.03 10:48 수정 2013.09.03 10:54        개성공동취재단 목용재 기자

4개 분과위원회는 오는 4, 5일 열릴 예정

2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에서 남측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 지원단장과 북측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 부총국장등 대표단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개성공단의 재가동을 위해 2일 열린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에서 남북은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에 대해 논의를 벌였지만 구체적인 합의 도출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오는 10일로 예정된 2차 공동위원회 회의에서 개성공단의 구체적인 재가동 시점에 대해 다시 논의를 벌인다.

이날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회의에서 우리 측은 서해 군통신선 복구와 기반시설 정비, 제도적 장치 보완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북측에 전달했다. 반면 북측은 조속한 개성공단의 재가동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는 발전적 정상화와 기업들의 피해 보상 방안을, 북측은 재가동을 언제 할 것인지 등을 주로 얘기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이 정해지지 않으면서 남북은 공동위원회 2차 회의를 오는 10일에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이 회의에서 공단의 재가동 시점과 개성공단 기업들의 피해보상 문제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더불어 남북은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가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4개의 분과위원회 개최 일시에 합의했다.

‘투자보호 및 관리운영 분과위원회’와 ‘국제경쟁력 분과위원회’는 오는 4일에 개최하기로 했으며 ‘출입·체류 분과위원회’와 ‘통행·통신·통관 분과위원회’는 오는 5일에 열기로 했다.

4개의 분과위원회에서는 개성공단 인원들의 신변안전 보장, 외국기업 유치 및 개성공단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는 문제, 입주기업들의 투자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문제 등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인 협의를 벌이게 된다.

또한 남북은 이번 1차 회의에서 구체적인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에 대해선 합의를 이루지 못했지만 상설사무처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논의에선 상당한 의견의 접점을 이뤘다.

이날 1차 회담은 12시간이 넘어가는 마라톤 협상을 하면서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 도출에 진통을 겪었다.

통일부 당국자는 “(개성공단 재가동이) 한 번에 논의가 마무리되기는 어렵다”면서 “오폐수 문제만 해도 미생물이 배양되어야 하는데 전기도 들어온다고 바로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재가동까지의 현안을 협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면서도 이 당국자는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에 남북 간 이견이나 쟁점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발전적 정상화를 위해 세부적인 사안을 다루다보니 남북이 이야기할 것이 많다”고 말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