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 제66회 산업발전포럼 '2025년 산업경제 진단 및 대응 방향' 개최
세계 반도체 시장 12.1% 성장, 설비투자 7.9% 증가 전망
내년 반도체 산업 성장률이 올해 보다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내 반도체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세액공제와 인프라 구축 지원으로 적시에 충분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은 19일 오전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2025년 산업경제 진단 및 대응 방향'을 주제로 제66회 산업발전포럼을 개최하고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KIAF는 기계, 디스플레이, 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백화점, 석유, 섬유, 시멘트, 엔지니어링, 의료데이터, 자동차모빌리티, 전자정보통신, 제로트러스트협회, 조선해양플랜트, 철강, 체인스토어, 항공우주, 화학 등 19개 단체로 구성됐다.
이날 고종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략기획실장은 ‘반도체산업 전망’ 발표를 통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GPU(그래픽처리장치) 시장 확대, 메모리 시장 반등으로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보다 24.2% 증가한 6769억 달러(981조2342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메모리 가격 회복으로 반도체 수출액도 지난해 보다 40.9% 늘어난 1390억 달러(201조4944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반도체 시장은 7591억 달러(1100조3913억원)를 기록, 올해 보다 12.1% 성장할 전망이나 성장률 자체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간 수출도 메모리 가격 하락 우려와 온디바이스 AI(인공지능) 및 HBM(고대역폭메모리) 비중 확대 이슈가 교차하며 올해(1390억 달러) 수준을 밑도는 1350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올 3분기부터 초과 공급으로 하락전환된 흐름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고 실장은 "가격 반등을 위해서는 CSP(클라우드서비스) 기업의 지속적인 서버 투자와 함께 IT 기기 수요 동반 회복이 필수"라고 했다.
내년 설비 투자 증가율은 7.9%로 올해 증가율(0.7%) 보다는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의 경우 내년부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본격화된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는 360조원 규모의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2042년을 목표로 조성중이다. 이 클러스터에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제조공장 뿐 아니라 국내외 소부장, 팹리스(반도체 설계) 등 최대 150개 기업이 들어선다.
SK하이닉스도 2046년을 목표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122조원을 투자해 첨단 메모리반도체팹을 구축하며, 국내외 소부장 기업 등 50개 기업도 유치할 예정이다.
고 실장은 수요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지만, 첨단 반도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최선단 공정 투자로 2028년까지 연평균 2.5%의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각국에서는 잇따라 반도체 팹을 건설하며 기술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뿐 아니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팹리스(반도체 설계)를 아우른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첨단 기술 경쟁에서 앞서나가겠다는 포부다.
특히 이들은 보조금을 줘가며 자국 내 반도체 생산 증대를 위해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에 나서거나 자국 기술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반도체산업 지원법(Chips Act)을 통해 투자 기업에 조 단위 보조금을 직접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 토종 파운드리 '라피더스' 공장을 짓기 위해 정부가 막대한 지원금을 쏟고 있다.
이같은 첨단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메모리 초격차 기술 확보, 소부장·팹리스 등 반도체 생태계 구축 등의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주 52시간 규제를 적용하지 않고, 보조금 등 재정 직접 지원을 골자로 한 반도체 특별법과 반도체 공장 등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망 특별법이 발의됐으나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최태원 상의 회장은 17일 우원식 국회의장을 찾아 "무쟁점 법안 만이라도 연내 통과된다면 대한민국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긍정적 시그널이 될 것"이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반도체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 실장은 “세액공제와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적시에 충분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규제 합리화를 통해 비용을 최적화하며, 근로시간 개선 등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생산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도체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기업들이 투자 동력을 얻고, 동시에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꾸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팹리스 및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 지원이 확대돼야 하며, 국내 소부장 기업 제품에 대한 구매 인센티브와 연구개발 환경 개선을 위한 인프라 지원이 추진돼야 한다고 고 실장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