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하지 않는 것이 일관된 원칙"
'노동당 39호실' 이끈 전일춘 사위
북한 고위급 외교관이 지난 2019년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진 가운데 통일부는 "확인해드릴 내용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25일 "탈북자 내지는 그에 준하는 분들이 국내 들어온 사안에 대해 확인해드릴 내용은 없다"며 "확인하지 않는 것을 일관된 원칙으로 생각해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류현우 전 주쿠웨이트 북한 대사대리는 지난 2019년 9월 근무지에서 벗어나 부인과 함께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류현우 전 대사대리는 김정일·김정은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노동당 39호실' 수장이었던 전일춘의 사위로 전해졌다. 다만 류현우라는 이름은 한국에 망명한 이후 개명한 이름이라고 한다.
류 전 대사대리가 입국하기 두 달여 전,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대리가 한국 땅을 밟은 것으로 알려진 바 있어 북한 고위급 외교관들의 '이탈'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류 전 대사대리는 지난 2017년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결의(2371호)에 따라 서창식 당시 대사가 추방된 이후 대사대리직을 맡았다고 한다.
그는 평양외국어대학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외무성에서 근무하며 북한의 주요 무기 수출국인 시리아 등 중동지역에서 경력을 쌓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아내와 자식 등 '일가족 탈북'에 성공한 그는 "부모로서 자식에게 더 좋은 미래를 선물해주고 싶어 탈북을 결심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태영호 "자식에게 노예 같은 삶 물려줄 수 없었을 것"
한편 고위급 탈북민 출신으로 국회에 입성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남긴 글에서 "북한에서 39호실 실장의 사위이자 외교관으로 참사직까지 올라 임시 대사대리까지 했을 정도면 특권층으로 살아왔다는 것"이라면서도 "아무리 북한에서 특권층으로 살아왔다고 해도 해외에 나와 비교개념이 생기면 마음이 돌아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태 의원은 "(류 전 대사대리가) 망명을 하고 싶어도 자신의 망명으로 인해 피해를 볼 부모 형제, 일가친척과 동료들, 자기를 해외에 내보내 준 상급자들에 대한 걱정에 고통스러운 내적 갈등을 겪었을 것"이라면서도 "부모로서 차마 자식에게만큼은 노예와 같은 삶을 물려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류 전 대사대리의 장인인 전일춘과 관련해선 "오랫동안 김정일의 최측근으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왔다"며 "전일춘은 2012년 김정은 등극 후에도 한동안 모습이 보였으나 그 후 북한 관영매체에서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얼마 전 진행된 당 8차 대회에서 발표한 당 중앙 위원회 위원 명단에도 없는 것으로 보아 나이상 관계로 퇴직한 것 같다"고 밝혔다.
아울러 태 의원은 북한 당국이 "자유를 갈구하는 북한 주민들의 한국행을 영영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며 "3만 명이 넘는 탈북자가 한국과 해외에서 살며 북쪽 가족에게 자유로운 삶에 대해 전하고 있다. 한국 노래, 드라마, 영화 등 한류는 이미 북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북한 주민의 의식을 깨우는 이러한 자유로운 흐름을 영원히 폭력으로 멈춰 세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