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주식 자금 중심으로 가계 대출 크게 늘어"
정부 재정준칙 도입 방안에 "엄격한 준칙 필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 총재는 14일 기준금리를 기존 0.50%로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열린 인터넷 생중계 기자간담회에서 "3분기 연속 가계부채 증가율이 높아지고, 특히 6월 이후 주택 거래나 주식 투자 자금 수요가 늘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과정에서 어느 정도 가계 부채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최근 증가세는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늘어나는 가계 대출 자금이 자산 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되면 추가적인 금융 불균형 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볍게 넘길 수 없다"며 "가계부채 억제나 자산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앞서 정부가 발표한 재정준칙 도입 방안에 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국가 재정 운용에 필요한 자기 규율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재정준칙은 의미가 상당하다"며 "더욱이 한국은 어느 나라보다도 저출산과 고령화가 빨라 연금이나 의료비 등 의무지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엄격한 준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 이 총재는 다음 달 금통위에서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3분기 경제성장률이나 추가 지표를 토대로 판단할 일"이라며 "다만 앞으로 성장 흐름이 8월 성장 전망 경로에 대체로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최근 위험 요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으면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본다"며 "대내외 여건 변화와 그 변화가 우리 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필요할 때 적절히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