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상임위원 명단 제출 예정
국토위·산자위 등 치열, 외통위도 관심 높아
구체적인 명단은 최고수준 보안 유지
12일 본회의서 상임위원장 배분 강행할 듯
민주당이 오는 12일 본회의에 앞서 상임위원 명단을 제출할 예정이다. 177명 소속의원들의 상임위 배정이 거의 마무리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어느 때보다 보안이 철저해 누가 어느 상임위로 배정됐는지 정확히 알려지진 않은 상황이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상임위원 명단은 김태년 원내대표와 김영진 원내수석만이 알고 있다"며 "가까운 사이여서 물어봐도 도무지 알려주지 않는다. 원구성 협상 전략과도 맞닿아 있어 철저히 보안을 유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복수의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소속 의원들로부터 선호하는 상임위를 1지망부터 3지망까지 반드시 3개를 제출하도록 요청했다. 전통적으로 인기 상임위인 국토교통위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신청자가 많았고, 코로나19와 관련해 보건복지위를 선호하는 의원도 상당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비인기 상임위였던 외교통일위도 의외로 경쟁이 치열했다는 후문이다.
민주당의 한 의원실 관계자는 "예전에는 상임위원 명단을 사전에 알려주거나 일부 공개가 되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정말 보안이 철저하다"며 "선호하는 상임위가 전혀 반영이 안 된 경우에만 양해를 구하는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의원실에 연락을 하는 것으로 안다. 따로 연락이 없으면 선호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짐작만 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또 다른 의원실 관계자는 "김태년 원내대표가 공약한 대로 초선의원들의 상임위를 먼저 배려한 것으로 안다"며 "예전 같았으면 어느 정도는 공개가 되는데, 이번에는 원구성 협상 기간을 짧게 끝내려고 하기 때문에 굳이 사전에 알려주지 않는 것 같다"고 판단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12일 본회의에서 상임위원장 배분을 반드시 끝내겠다는 방침이다. 미래통합당과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법사위원회와 예결위원회 등 주요 상임위를 표결로 밀어붙이고 나머지는 공석으로 두는 방안까지 일각에서 거론될 정도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앞서 “비판이 나오더라도 감수할 것은 감수하고 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11일 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한 김태년 원내대표는 "국회의 잘못된 관행과 문화를 확 바꾸고 일하는 국회를 세운다는 각오로 국회법이 정한 절차대로 원구성을 마무리하겠다"며 "어떤 진통과 희생이 따르더라도 국민이 부여한 시대전환의 과제를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조정식 정책위의장도 "국민에게 약속한대로 조속히 상임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하고 그 즉시 추경심사에 돌입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