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오르는 아파트 관리비…에너지 절감 아파트는 어디?
건설사, 관리비 절감 위한 특화설계 적극 도입…실제 관리비 연간 50만원 이상 차이나
난방용품 사용으로 가스비 등 관리비가 증가하는 겨울철이 돌아오면서 에너지 절감형 아파트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 부담이 커진데다 많은 난방비가 부과되는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아파트 관리비 부담은 더욱 커졌다.
25일 국토교통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 자료를 보면 2017년 11월 ㎡당 2150원이었던 전국 아파트 평균관리비가 12월에는 2386원, 올해 1월과 2월에는 각각 2551원, 2466만원으로 최대 18.65%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관리비 절감을 위해 지자체에서도 나서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우리 아파트 관리비 바로알기’ 가이드북을 웹툰으로 만들어 연재하고 있다. 최근에 게재한 웹툰에서는 난방비 절약을 소개하는 내용을 담았다.
부산시 금정구는 한국전력공사 동래지사와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효율 개선 협력’을 위한 협약을 10월에 체결했다. 전기분야 아파트 관리비 절감 지원관리단 구성, 에너지 분야 자문, 공동주택 관리주체 교육 등을 통해 공동주택 관리비 절감을 유도한다는 방임이다.
건설사에서도 각방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실별온도제어 시스템을 설치해 냉·난방비를 절감하거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소비량 체크를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절감 설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밖에도 LED조명, 태양광·지열시스템 등을 활용하거나 센서식 싱크절수기 등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절감 시스템은 실제 관리비 절감에 도움이 되고 있다.
서울시 구로구 개봉동의 ‘개봉 푸르지오’는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전력소모가 적은 LED 조명도 설치했다. 또 각 가구마다 에너지 절약 효과가 뛰어난 ‘풍량 조절형 다분기 챔버’ 설비도 도입했다.
국토교통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자료 분석 결과, 지난해 12월 이 아파트의 관리비는 ㎡당 1959원인 반면, 인근에 위치한 ‘S’ 아파트는 동월 관리비가 ㎡당 3,337원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약 11만원의 관리비 차이가 나는 셈이다.
업계 전문가는 “혹한 뿐 아니라 폭염이 일상화되면서 에너지절감시스템을 갖춘 아파트 도입이 최근 추세이다”라며 “전기요금이나 가스비 등이 관리비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는 아파트는 향후 집값 형성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겨울에도 에너지절감형 기술을 도입해 관리비 절감에 나선 아파트들이 분양 중이다.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180번지 일원에 ‘부산 오션시티 푸르지오’를 분양 중이다. ‘부산 오션시티 푸르지오’는 지하 3층~지상 49층 아파트 4개동, 846가구, 오피스텔형 레지던스 1개동 160실로 구성돼 있다. 아파트는 전용면적 84㎡, 115㎡로 구성되어 있으며, 99%에 해당하는 839가구가 84㎡으로 구성돼 있다. 오피스텔형 레지던스는 전용면적 21㎡ 100실, 23㎡ 60실로 구성된다.
단지에는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되어 에너지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으며, 단위세대 전체 및 공용부분 일부에는 LED 조명이 설치된다. 절수기 일체형 싱크수전과 대기전력 차단장치, 엘리베이터 전력회생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절감기술이 도입된다. 또 난방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 설치돼 각 방에 필요 유량만 공급할 수 있으며, 실별온도제어 시스템이 도입되어 각 방 온도를 설정하여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이 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675번지에 짓는 ‘병점역 아이파크 캐슬’도현재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6층, 27개동, 전용면적 59~134㎡, 총 2666가구로 구성된다.
이 단지에는 공용부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과 실시간에너지 사용량조회와 대기전역 차단이 가능한 에너지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다. 지능형 조명 제어가 가능한 주차장 통로 LED도 도입한다.
아이에스동서가 부산시 수영구 광안동 1222-9번지 일대를 재건축한 ‘광안 에일린의 뜰’은 지하 3층∼지상 19층 4개동, 전용면적 66∼84㎡ 225가구 규모다. 이 중 160가구가 일반 분양 중이다.
실별온도조절시스템을 도입하고, LED 조명과 옥상 태양광 설비를 설치했다.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와 일괄소등 스위치도 에너지 절약에 도움을 준다.
GS건설이 분양 중인 ‘탑석센트럴자이’는 의정부 용현동 241 일원에 들어서는 단지로,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6개동, 전용 49~105㎡, 총 2573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818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단지는 LED 조명을 확대 적용하고, 조경용수로 쓸 수 있게 빗물 활용시스템을 도입한다. 전력회생형 승강기와 지하주차장 LED 조명제어, 고기밀성 단열창호,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등 다앙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도입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