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규모가 늘고 있지만 국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오히려 줄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표한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 추이와 행태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연평균 해외직접투자는 지난 2001∼2009년 121억1000만달러에서 2013~2017년 344억7000만달러로 늘었다.
해외직접투자는 해외 자회사 설립, 회사 인수, 해외 기업에 대한 지분 참여 등의 형태로 이뤄진다.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세계 13위로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해외직접투자 잔액 비중은 지난해 23.7%로 사상 최고를 찍기도 했다.
법인형태별로 보면 신규법인을 현지에 설립하는 형태로 이뤄지는 '그린 필드형' 투자 비중은 2013년 76.1%에서 지난해 52.4%로 줄었지만 기존 법인의 지분을 인수하는 인수합병(M&A)형 투자는 23.4%에서 47.0%로 상승했다.
투자목적별로는 현지시장과 제 3국 진출을 위한 투자가 가파르게 상승해 그 비중이 지난 2013~2017년 연 평균 67%로 확대됐다.
하지만 M&A형 투자와 시장 개척을 위한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해외직접투자가 국내에 유발하는 긍정적인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현지법인 수출액을 해외투자 잔액으로 나눠 계산한 직접적 수출유발 효과는 지난 2013년 162.9%에서 지난해 117.4%로 축소됐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신흥 개발도상국 시장 확대와 기업의 생존을 위한 신기술 확보 필요성으로 해외직접투자가 지속해서 확대될 것"이라며 "해외 금융시장 불안으로 해외 보유 자산 가격이 급락할 경우 관련 국내 투자기관의 재무건전성,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리스크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