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군도 무서운 독일, 요주의 선수는?
스웨덴전에서 탄탄한 자원으로 승리 따내
동점골의 로이스와 2선의 브란트 경계해야
벼랑 끝 승부다. 승리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모두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그럼에도 실날같은 희망을 품고 다시금 월드컵 최종전을 치르는 대표팀이다. 그러나 상대가 독일이다.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7일 오후 11시(한국시각), 카잔 아레나에서 열리는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독일과의 맞대결을 준비 중이다.
FIFA 랭킹 1위 그리고 지난 대회 우승팀, 여기에 지난 해 2군에 가까운 멤버로 차지했던 컨페더레이션스컵까지, 독일 대표팀은 대회 시작 전부터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축구 강국이다. 기본적으로 선수진이 화려하다. 골키퍼부터 공격진까지 여타 팀들과 비교해도 전력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독일이다.
그런 독일에도 위기는 있었다. 첫 경기 멕시코전 패배 그리고 스웨덴전 극적인 역전승까지, 독일 역시 16강 진출을 안심할 수 없다. 이는 대표팀도 마찬가지다. 무조건 이겨야 한다. 이왕이면 두 골 차 승리가 필요하다. 여기에 멕시코가 스웨덴을 잡아야 한다. 여러 경우의 수가 있지만, 대표팀에 주어진 경우의 수는 단 하나, 독일전 승리뿐이다.
# 최강 자랑했던 독일 1군, 아직은 물음표
반전을 꿈꾸는 대표팀으로서는 장신 그리고 발재간이 뛰어난 독일 선수들이 여간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도 그럴 것이 화려하다. 대회 전 독일 1군 최전방에는 베르너가 그리고 2선에는 외질과 드락슬러 그리고 뮐러가 포진됐다. 케디라와 크로스가 허리를 지키고, 키미히와 보아텡 그리고 훔멜스와 헥토르가 포백 라인을 형성했다. 그리고 노이어가 골문을 지켰다.
예상대로 독일은 감기로 결장한 헥토르를 제외한 1군 선수들을 멕시코전에 선발 출전시켰지만, 결과는 0-1 패배였다. 수치상 독일의 우세였지만 내용과 짜임새, 결과 모두 멕시코의 우위였다. 멕시코는 잘 했고, 독일은 그렇지 못 했다.
# 탄탄한 로테이션 자원으로 빛을 본 독일
1군 라인업으로 멕시코전에서 패한 뢰브 감독은 선발진에 변화를 줬다. 그 첫 번째가 케디라다. 여기에 뤼디가 허리에 가세하면서 로이스가 외질을 대신해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수비진에는 부상 아웃된 훔멜스 대신 뤼디거가 출전했다.
전반, 독일의 경기력은 여전히 물음표였다. 그러던 중 후반 동점골에 이어 추가 시간 크로스의 극적인 결승골이 터지면서 2-1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여기에서 주목할 부분이 바로 로이스다. 실력만 놓고 보면 독일 대표팀 주전 입성도 무리는 아닌 로이스지만, 뢰브 감독의 일차 선택은 드락슬러였다. 드락슬러와 외질 그리고 뮐러 카드로 멕시코 사냥에 나섰던 뢰브 감독의 전략은 실패했고, 그가 꺼내 든 카드가 바로 로이스였다.
로이스는 이날 후반 4분 동점골에 이어 종료 직전에는 크로스와의 환상적인 세트피스 전략으로 결승골을 도왔다.
두 번째는 브란트다. 2년 전 리우 올림픽에서 신태용호에 맞섰던 브란트는 꾸준한 성장세로 독일의 날카로운 창으로 우뚝 섰고, 멕시코전에 이어 스웨덴전에서도 가벼운 몸놀림으로 상대를 흔들었다. 주전급 선수인 뮐러가 소속팀에서부터 대표팀까지, 부진한 모습을 보여준 탓에 로이스와 브란트 그리고 드락슬러의 2선 포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상대적으로 수비진이 취약한 대표팀으로서는 돌격대장인 브란트의 존재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공은 둥글지만, 전력 차는 뚜렷하다. 게다가 월드컵 초반 2연패 이후 16강에 진출한 팀은 지금까지 단 한 팀도 없었다. 게다가 상대는 세계 최강을 자랑하는 독일이다. 여기에 탄탄한 선수층과 스웨덴전 승리에 따른 상승세도 대표팀으로서는 걸림돌이다.
그러나 포기는 이르다. 지금까지 대표팀은 독일과의 세 차례 맞대결에서 1승 2패를 기록했고 모두 대등하게 맞섰다. 2004년 친선 경기에서는 오히려 독일 대표팀이 1군에 가까웠지만, 3-1로 승리했고 두 번의 월드컵 모두 아쉬운 패배를 기록했을 뿐, 완패를 당하진 않았다.
팀 전력, 분위기 모두 열세인 것이 사실이다. 대표팀으로서는 대반전을 이룩해야 한다. 그만큼 힘겨운 독일전이지만, 독일전 선전을 통해 기적의 16강 진출을 거두길 학수고대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