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타는 민주평화당, 셈법 복잡해진 정의당…공동교섭단체 이상기류
정의당 “정체성 다르다”…반대 의견 봇물
자신감이 우려로…평화당 출구전략 미지수
정의당 “정체성 다르다”…반대 의견 봇물
자신감이 우려로…평화당 출구전략 미지수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정의당에서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결정이 미뤄지고 있다. 평화당은 원내교섭단체 성사 여부를 자신했다가 정의당의 결정에 목매는 형국이다.
정의당 “정체성 다르다”
정의당은 7일 광역시도당 위원장단 연석회의를 통해 공동교섭단체 여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다음날 상무위원회에서 논의를 이어간 후 이르면 이번주, 늦으면 다음주 초 최종 의견을 평화당에 전달할 방침이다.
정의당은 6일 두 차례 의원총회에서 평화당과 공동교섭단체 구성안 논의를 이어갔지만 결론내지 못했다.
반대 의원들은 정의당의 환경, 여성 등 핵심 정책들이 평화당의 정책노선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일부에서는 공동교섭단체보다 정책연대 수준으로 연결고리를 낮춰야 한다는 중재안도 거론되는 상황이다.
김종대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 직후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교차하는 격론이 오고 갔다"고 했다.
정의당은 시도당 위원장단과 상무위원회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전당원투표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도권 뺏긴 평화당, 불안
평화당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당은 이미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 구성 시 배정되는 정책연구위원 비율까지 계산해 놓고 양당 합의를 자신했다.
평화당은 5일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이상돈 의원을 정책연구원장으로 임명한 바 있다. 당내 독립적인 정책연구기관을 위한 인선이라고 하지만 공동교섭단체 성립 시 배정되는 정책연구위원을 총괄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당 핵심 관계자는 말했다.
사실상 평화당은 정의당이 공동교섭단체 여부를 결정하기 전 성사 여부를 확신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평화당의 '공동교섭단체 필요성'이라는 자료에 따르면 10명이 배정되는 정책연구위원을 의석수 비율(평화당 14석, 정의당 6석)로 분배했다. 각각 7명, 3명의 연구위원을 둘 수 있다고 했다.
평화당은 양당 최대 걸림돌인 정체성 문제를 "정의당과 합당하는 게 아니더라도, 국회 내에서 이뤄지는 두 정당 간의 약속에 의한 연정과 협치의 개념"이라며 이번 교섭단체 협의를 정의한 바 있다.
평화당은 정의당과 협상 결렬 시 정책연대를 플랜B로 구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평화당의 일방적인 구애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