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직장 내 괴롭힘 '방치'…근로자 60% "회사 노력 미흡"


입력 2018.03.04 10:44 수정 2018.03.04 10:45        스팟뉴스팀

사내 교육 부족…연수 경험 32.4%

서울 여의대로에서 직장인들이 출근길에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근무처에서 직장 내 괴롭힘을 사실상 방치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실시한 '직장 내 괴롭힘 실태 조사'(30인 이상 사업체 종사·만20∼50세 미만 근로자 2천500명 대상)에 따르면, 괴롭힘 방지를 위해 현 직장이 '노력하고 있지 않다'고 답한 사람은 47.4%에 달했다. '모르겠다'는 응답도 11.4%로 드러났다.

10명 중 6명은 괴롭힘 방지를 위한 회사 차원의 대응이 미흡하다고 지적한 셈이어서 직장 단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에서 직장 내 괴롭힘은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사람·조직·다수인이 특정인에게 적정 범위를 넘은 정신적·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사내 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강습이나 연수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32.4%에 불과했다.

이밖에 상사가 부하를 대하는 방법과 관련한 강습이나 연수를 받았다는 답은 25.2%, 직장 내 의사소통 활성화에 관한 교육을 받았다는 답은 37.2%에 그쳤다.

직장에서 직장 내 괴롭힘 방지 활동을 실시한 후 변화상으로는 '상사와 부하 직원 간 의사소통 분위기 개선'(25.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부하 직원 지도 용이'(19.8%), '업무 수행 수월'(19.4%)가 뒤따랐다.

직장인들은 또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이나 해결을 위한 회사의 대책(중복응답)으로 '상담이나 해결 지원'(37.2%)을 주로 꼽았고, '경영진의 선언 및 방침 확립'(35.2%)과 '재발방지 조치'(34.5%)가 뒤를 이었다.

한국노동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근무처 차원의 방지 노력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문제 해결 및 예방을 위한 교육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비판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