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소 이어 차까지…'패닉' 군산시 "GM 만행 불매운동으로 대응"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7개월 만에 한국지엠 공장 폐쇄
조선소 근로자 6000명 이어 자동차 공장 1만3000여명 실직사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7개월 만에 한국지엠 공장 폐쇄
조선소 근로자 6000명 이어 자동차 공장 1만3000여명 실직사태
7개월 사이에 지역의 주력 사업장 두 곳을 잃어버린 군산시가 패닉에 빠졌다.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GM이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를 선언하며 결정타를 날린 것이다. 군산시는 GM의 이번 결정을 ‘만행’으로 규정하고 GM 브랜드(쉐보레, 캐딜락) 차종 불매운동을 선언했다.
13일 군산시는 입장문을 통해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은 매우 뼈를 깎는 고통과 함께 참담한 실정”이라며 “30만 군산시민들은 그동안 범도민 GM차 구매운동, 올 뉴크루즈 전북도내 전시홍보, GM차 구매 결의대회 등 한국GM에 보여준 노력과 열정에 깊은 배신감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누구보다도 성실하게 일해 왔던 근로자들과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준 30만 시민들에게 사전에 단 한마디 없이 군산공장 폐쇄결정을 갑자기 발표한 것은 절망감을 안겨줬을 뿐만 아니라 GM측의 만행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비난했다.
군산시는 GM에 대해 군산공장 직원고용 승계를 전제로 한 매각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정부에 대해서는 한국지엠에 대해 유상증자 등으로 지원할 경우 군산공장 가동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군산시에 따르면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자동차 항만 부두와 최신설비, 인근 산단지역의 협력업체가 집중화된 최고등급 공장으로, 한때 군산경제의 30%이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군산이 ‘GM자동차의 도시’로 불리기도 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에는 직영 근로자 2000여명에 협력업체 직원까지 총 1만3000여명이 종사해 왔다. 군산공장의 폐쇄는 4인 가족 기준 군산시 전체 인구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5만여명의 생계가 달린 일이다.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사까지 포함하면 경제적 파장은 더 커진다.
특히 군산시는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가동중단으로 이미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태다. 명목상으로는 ‘건조물량 부족에 따른 일시 중단’이라고는 하지만 군산조선소 설립 당시와 같은 조선 호황이 다시 돌아오긴 힘들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영구폐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군산시는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공공용 선박, 노후선박, 교체로 물량을 확보해 군산 조선소를 정상화 시키겠다고 누누이 강조했으나 여전히 소식이 없어 실망을 금치 못하고 있다”면서 “군산조선소 폐쇄로 현재까지 6000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1만여명 이상의 인구가 군산을 떠나 군산시 지역경제가 초토화 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마저도 현정부에서 사전에 대처하지 못한 것은 30만 군산시민에게 두 번이나 피눈물을 흘리게 하고 절망과 실의를 안겨 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군산시는 “군산공장을 폐쇄할 경우 우리시와 200만 전북도민은 GM차 불매운동을 비롯한 모든 방법을 강구해 지속적이고 강력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