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테스터 화장품서 기준치 최대 2천배 세균 검출


입력 2018.01.09 17:09 수정 2018.01.09 17:09        스팟뉴스팀

화장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테스터 화장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등 세균이 과다 검출됐다. 유통화장품 미생물 기준의 최대 2100배가 넘는 세균이 검출된 제품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있는 16개 화장품 매장의 42개 테스터 화장품(아이섀도 16개, 마스카라 10개, 립 제품 16개)을 조사했다고 9일 밝혔다.

테스터(tester) 제품이란 소비자들이 제품을 사기 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매장에 비치한 견본품을 말한다.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14개 제품(33.3%)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됐다.

테스터 제품은 모두 개봉된 제품이지만 개봉된 화장품에 대한 미생물 기준이 없어 개봉하지 않은 유통화장품 기준이 적용됐다.

립 제품 16개 중 4개 제품(25.0%)에서는 기준치 1000 이하인 총 호기성 생균이 1530∼214만cfu/g 수준으로 초과 검출됐고 3개 제품(18.8%)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총 호기성 생균 수는 살아있는 세균과 진균 수를 측정한 것으로, 세균·진균에 오염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처가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염증까지 발생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피부질환, 구토, 설사, 복통 및 오심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이다.

아이섀도 16개 중 2개 제품(12.5%)에서도 총 호기성 생균이 510∼2300cfu/g 수준으로 기준(500 이하)보다 더 검출됐고 1개 제품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마스카라 10개 중 5개 제품(50.0%)에서는 총 호기성 생균이 550∼2200cfu/g 기준치(500 이하)를 초과해 나왔다.

소비자원은 "아이섀도·마스카라·립제품 등의 용기는 대부분 뚜껑을 열어 사용하는 단지 형태로, 튜브 또는 펌프식 제품보다 교차오염 위험이 크다"며 "오염된 제품을 눈·입술 등과 같이 민감한 부위에 사용하면 피부질환·염증 등의 발생 가능성이 커 위생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