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제약바이오협회, 내년 'AI 센터 추진단' 가동…5대 중점과제 발표


입력 2017.12.18 15:59 수정 2017.12.18 16:00        손현진 기자

'AI 센터' 설립 위한 추진단 본격 가동…추진단장에 이동호 교수 내정

제약업계, ISO 도입해 윤리경영 확립…미래 경제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18일 서울 서초구 협회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에 추진할 5대 중점 과제를 발표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18일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이하 AI 센터)' 설립을 위한 추진단 출범을 비롯해, 내년에 협회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시행할 5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협회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8년 1월 범부처 'AI 센터 추진단'이 차질없이 출범할 수 있도록 추진단장을 포함해 인력과 예산, 사무실 마련 등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원 회장은 이어 "AI 센터 설립을 목적으로 결성될 추진단은 1년의 활동기간 동안 산업계 수요에 맞는 최적의 신약개발 인공지능을 도입해 신약개발 인공지능 사용 환경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며 "빅데이터와 결합된 인공지능은 신약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비용뿐 아니라 4~5년의 디스커버리 단계에 걸리는 시간의 6분의 1을 단축해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협회는 지난 7월 열린 간담회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 흐름에 따라 정부 기관과 함께 AI 센터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제약업계가 인공지능에 주목한 것은 신약 개발 비용은 증가하는 데 반해 신약 성공률은 낮아지는 '생산성 하락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다. 협회는 내년 한 해 동안 AI 센터 설립을 준비하고 내후년에 AI 센터를 설립할 방침이다.

AI 센터 추진단장에는 이동호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내정됐다. 구체적인 예산은 아직 수립되지 않았지만, 보건산업진흥원과 협회가 절반씩 부담할 계획이다.

원 회장은 또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의약품 품질 혁신'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을 과제로 꼽았다.

국내 제약기업들이 해마다 의약품 수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데 따라, 협회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여러 국가와 교류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은 유럽 주요 국가들과 MOU(업무협약)를 맺는 등 구체적인 협력이 진척될 것으로 전망됐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윤리경영 확립을 위한 방안도 시행된다. 협회는 의약품 리베이트를 원천적으로 근절할 수 있는 내부 시스템을 가동할 뿐 아니라 국제기준에 맞는 윤리경영이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협회는 지난 10월17일 열린 이사회에서 글로벌 윤리경영의 표준인 ISO 37001(반부패경영시스템) 도입을 결의했다. 내년 15개 이사장단사와 내후년 35개 이사사 등 업계는 ISO 37001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원 회장은 "제약업계가 CP 도입을 통한 준법경영이 상당부분 자리 잡은 건 맞지만, 이에 더해 ISO 37001 인증까지 받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투명경영 노력을 인정받았다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올해 '오픈 이노베이션 플라자'를 개설하는 등 개방형 혁신의 하드웨어를 구축한 것에서 더 나아가 내년에는 다국적 빅 파마들과 국내 투자 및 공동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는 등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원 회장은 "올해는 제약·바이오 산업이 미래의 성장 동력 사업이 될 것이라는 사회적인 공감대를 많이 끌어냈다고 생각한다"며 "일부 제약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엽적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제약산업이 반도체 이후에 우리 경제를 견인할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손현진 기자 (sonso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손현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