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 뚫린 수비와 침몰한 슈틸리케호
카타르전 3골 실점..시리아전 2경기 제외 매 경기 실점
곽태휘, 장현수 등 부진...원칙 깬 슈틸리케 탓도 커
한국 축구가 1984년 12월 10일 이후 32년 6개월 만에 카타르에 패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14일 오전 4시(한국시각) 카타르 도하에 위치한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서 열린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 A조 8차전 카타르와 경기에서 2-3으로 패했다. 이로써 한국은 4승 1무 3패로 승점 13점을 유지했고, 이란(홈)과 우즈베키스탄(원정)전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됐다.
이라크 평가전과 비교해 선발 라인업에 변화가 있었다. 포메이션부터 스리백이 아닌 4-1-4-1이었다. 황희찬이 최전방 스트라이커로 나선 가운데 손흥민과 지동원이 측면, 이재성이 중앙 공격형 미드필드로 출전했다. 기성용과 한국영이 중원을 구성했고, 김진수와 곽태휘, 장현수, 최철순이 포백을, 골문은 권순태가 지켰다.
경기력에 대한 ‘우려’ 이겨내지 못한 ‘도하 참사’
부지런히 뛰었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점유율만 높았다. 전반 3분 손흥민의 슈팅이 나왔지만, 수비수에게 막혔다. 황희찬의 헤더는 위력이 없었다. 이라크전과 달리 전진 패스가 나왔고, 전방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이 있었지만, 위협적인 장면은 만들어내지 못했다.
결국, 선제골을 내줬다. 전반 25분 아피프가 페널티박스 부근에서 최철순의 반칙을 얻어내며 프리킥 기회를 만들어냈고, 알 하이도스의 오른발 킥이 그대로 골망을 갈랐다. 운도 따르지 않았다. 전반 30분 ‘에이스’ 손흥민이 공중볼 경합 중 오른쪽 손목이 꺾이며 경기를 뛸 수 없는 상황을 맞이했다.
이근호가 조기에 투입됐고, 만회골을 위해 적극적으로 공격을 시도했다. 결정적인 기회가 찾아왔다. 전반 41분 이근호가 상대 골키퍼와 일대일 기회를 잡아냈지만, 결정력이 아쉬웠다. 2분 뒤에는 기성용의 슈팅이 골문을 벗어났고, 황희찬의 슈팅은 제대로 맞지 않았다. 한국이 기회를 살리지 못하자, 카타르가 역습을 통해 추가골을 성공시켰다.
후반 6분 아피프가 알 하이도스와 패스를 주고받으며 수비진을 무너뜨렸고, 권순태 골키퍼와 일대일 기회를 침착하게 득점으로 연결했다. 한국은 다급해졌다. 존재감이 없던 지동원 대신 황일수를 투입했고, 공격에만 집중했다. 연이은 슈팅이 나왔고, 마침내 만회골이 터졌다. 후반 17분 오른쪽 측면을 파고든 이재성이 내준 볼을 기성용이 슈팅으로 연결해 골망을 갈랐다.
기세가 오른 우리 대표팀은 극적인 동점골까지 터뜨렸다. 후반 25분 황일수의 크로스를 황희찬이 발리슛으로 연결하며 카타르의 골망을 출렁였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우리는 매우 힘겹게 득점을 만들어냈지만, 카타르는 손쉽게 역전골을 뽑아냈다. 후반 30분 타바타의 침투 패스를 알 하이도스가 슈팅으로 연결하며 32년 6개월 만에 한국전 승리를 완성했다.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은 수비였다. 슈틸리케 감독은 수비를 가장 중요시하지만, 시리아전 2경기를 제외한 전 경기 실점이라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포백 보호의 임무를 받고 경기에 나선 한국영부터 허술했다. 상대의 패스와 공간 침투에 전혀 대응하지 못했다. 부족한 탈압박 능력과 부정확한 패스는 상대의 역습에 날카로움을 더할 뿐이었다.
포백 수비도 마찬가지였다. 곽태휘와 장현수가 나선 중앙 수비는 매우 아쉬웠다. 뒷공간을 파고드는 상대 공격수를 계속 놓쳤고, 페널티박스 안쪽을 향하는 패스에 대한 예측도 볼 수 없었다. 패스 한 번에 상대 공격수와 권순태 골키퍼가 일대일로 맞부딪히는 상황이 자주 나왔다.
수비 문제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 곽태휘는 소속팀 FC서울에서도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지난 시즌까지만 해도 공중볼 장악력과 풍부한 경험을 앞세워 스피드에 대한 약점을 지워냈지만 올 시즌은 달랐다. 상대 공격수의 돌아서는 움직임과 순간적인 스피드를 전혀 따라가지 못했다.
유현 골키퍼의 잦은 실수가 더 큰 문제기는 하지만 K리그 클래식 13경기 14실점과 2017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탈락이란 아쉬움에는 곽태휘가 이끄는 중앙 수비진의 책임도 상당했다.
장현수는 올 시즌 딱 한 경기에 출전했다. 그 경기마저도 3실점을 내주며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월드컵 본선 무대가 걸린 중요한 경기에 나설만한 몸 상태와 실력이 아니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도 슈틸리케 감독은 장현수를 선택했고, 수비진의 부진과 함께 도하 참사라는 결과를 맞이했다.
새로운 것이 아닌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기에 아쉬움이 남는다. 소속팀에서의 꾸준한 경기 출전이라는 기본적인 원칙만 지켰어도 도하 참사는 없었다. 지금과 같은 모습을 유지한다면, 월드컵 본선 진출은 장담할 수 없다. 아시아 최종예선 8경기에서 무려 10골을 허용한 팀이라면, 본선에 가서는 알제리전을 뛰어넘는 참사만 쌓일 뿐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