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제회계기준 도입 앞두고 대형 보험사들 '느긋'
중소형사 발등의 불…생·손보 2~3위 대형사들도 자금 수혈 나서
삼성생명·화재 관망 지속…ING생명 상장 목적 자본 확충 아냐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대부분 보험사들이 자금 수혈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재무 상태에 여유가 있는 일부 대형 보험사들은 선뜻 자본 확충에 나서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업계 선두 보험사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여전히 흐름을 관망하고 있다. ING생명은 새 회계기준이 적용되면 오히려 재무 상태가 나아질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치는 가운데, 최근 진행 중인 주식시장 상장도 자본 확충을 위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재무 여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던 대형 보험사들도 최근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다.
손보업계 2~3위에 자리하고 있는 현대해상과 동부화재는 다음 달 각각 3000억원, 400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두 손보사는 주관 증권사를 선정하고 어떤 구조로 후순위채를 발행할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생보 빅3 중 하나인 한화생명도 최근 자본 조달에 성공했다. 한화생명은 이번 달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중소형 보험사들도 자금 모으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NH농협생명은 올해 2분기 안에 300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할 계획이고, KDB생명도 2000억원 수준의 후순위채 발행을 추진 중이다. 동양생명은 대주주인 중국 안방보험으로부터 5283억원을 증자 받았고, 같은 안방보험 식구가 된 알리안츠생명 역시 2180억원의 자금을 수혈 받았다.
반면 연내 자본 확충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는 보험사들도 있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지급여력(RBC)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급하게 자본 확보에 나설 필요는 없다는 판단이다. RBC비율은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보험업법 상 100% 이상을 유지하면 된다.
대부분 보험사들이 자본 확충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2021년부터 적용되는 IFRS17 때문이다. IFRS17이 시행되면 지급해야 할 보험금인 보험사의 부채 평가 방식은 현행 원가에서 시가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가입 당시 금리를 반영해 부채를 계산해야 하고 그만큼 보험금 부담이 늘어난다. 결국 회계 상 자본이 줄고 부채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RBC비율 하락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지난해 말 기준 RBC비율은 각각 302.14%, 333.1%를 나타냈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RBC비율은 아직 신생 보험사인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을 제외한 보험사 전체 평균(220.45%)보다 100%포인트 정도 높다.
ING생명은 거꾸로 IFRS17을 반기는 분위기다. 과거부터 자산과 부채 모두를 시가로 평가하는 유럽 기준으로 회계기준을 적용해 왔기 때문에, IFRS17이 도입되면 RBC비율이 지금보다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다. ING생명의 지난해 말 RBC비율은 319.20%다. 또 새 회계기준 적용 시 부채 증가의 주요인인 확정금리형 상품 비중 역시 생보업계 평균 30%보다 훨씬 낮은 10%대 초반을 유지해 왔다는 점도 자신감의 배경이다.
최근 진행 중인 기업공개(IPO) 목적도 자본 확충이 아니라는 해석이다. 통상 IPO는 회사가 대량의 자금을 수혈하기 위해 내세울 수 가장 대표적인 방안인데, ING생명의 IPO를 들여다보면 이 같은 예상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주식시장 상장을 통해 대규모 자본 확충을 하려면 신주 발행이 필수다. 그런데 ING생명의 IPO 공모에서 투자자들에게 배정되는 3350만주는 전량 구주매출이다. 결국 ING생명은 상장이 되더라도 자기자본이 늘지 않는다는 얘기다.
ING생명의 상장에 따른 진짜 효과는 자본 확충이 아니라, 대주주이자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의 투자금 회수라는 분석이다. 이번에 풀리는 주식은 모두 라이프유한투자회사 소유다. 이 회사는 MBK파트너스가 세운 특수목적회사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금 당장 IFRS17을 적용하면 국내 보험사 RBC비율이 최대 100%포인트 가까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현재 RBC비율이 300%가 넘는 보험사들은 아직 여유가 있는 셈"이라며 "이들도 새 회계기준 도입 이전에 자본 확충을 아예 안 할 수는 없겠지만, 관련 기준서가 나온 뒤 검토해 봐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