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상수지 987억 달러 흑자…서비스수지 최대 적자
우리나라의 작년 12월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며 58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그러나 서비스 수지의 적자는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6년 국제수지'에 따르면 지난해 상품,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모두 986억 8000만 달러(잠정치)다. 이는 2015년 1059억 4000만 달러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는 2012년 508억 4000만 달러로 500억달러를 돌파했고 2013년 811억 5000만 달러, 2014년 843억7000만 달러로 계속 늘었다.
작년 12월 경상수지 흑자는 78억 7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2012년 3월부터 58개월 연속 흑자 행진이다.
지난해 상품수지 흑자는 1204억 5000만 달러로 전년(1222억 7000만 달러)보다 18억 2000만 달러 줄었지만 2년 연속 1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생산 중단 등의 악재에도 나름대로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도 상품수지 흑자에 기여했다.
지난해 상품 수출은 5117억 8000만 달러로 2015년보다 5.7% 줄었고 수입은 3913억 3000만 달러로 7.0% 감소했다.
지난해 서비스수지는 176억 1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규모가 2015년 149억 2000만 달러에 이어 2년 연속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급료·임금과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가리키는 본원소득수지는 지난해 14억 6000만 달러 흑자로 조사됐다.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의 국내 송금 등 대가 없이 주고받는 거래 차액을 가리키는 이전소득수지는 56억 2000만 달러 적자가 났다.
지난해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1003억 9000만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72억70000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08억 30000만 달러 증가했다.
주식, 채권 등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630억 4000만 달러 늘었다.
특히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2015년(418억 8000만 달러)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33억 달러 줄면서 2년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다.
파생금융상품은 1년 사이 31억 8000만 달러 줄었고,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지난해 76억 9000만 달러 증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