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실업률이 12%대를 넘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999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 실업자의 수는 56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만6000 명 증가했다. 청년 실업률은 12.5%를 기록해 1999년 6월 실업자 기준을 구직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015년 10월 7.4%를 기록한 청년 실업률은 11월 8.1%, 12월 8.4%, 2016년 1월 9.5%를 기록하며 계속해서 높아지다가 지난 2월 처음으로 12%대에 진입했다.
보통 2월은 대학 졸업 시즌이어서 다른 달보다 청년 실업률이 훨씬 높지만, 2015년 2월(11.1%)이나 2014년 2월(10.9%)에 비하면 높은 수치다.
2016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선발예정 인원은 4120 명으로 2015년보다 420명 늘면서 지난 1월 원서 접수 경쟁률은 지난해(51.6:1)보다 높은 54:1을 기록했다.
관계자는 실업률이 올랐지만, 2월 청년 고용률도 0.3%포인트 올랐다고 덧붙였다.
2월 취업자 수는 2541만8000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만3000 명 증가했다. 이 취업자 증가 폭은 2015년 4월(21만6000명)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낮다.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2015년 12월 49만5000명 증가해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지만, 2016년 1월 33만9000 명대로 떨어진 후 2월에는 더 낮아졌다.
통계청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2015년에는 2월이 설 직전이어서 식료품 제조,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취업자가 늘었는데 이번에는 조사가 설 직후 이뤄져 기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사 대상 기간이 설 직전이면 취업자 수가 늘고, 설 직후면 감소한다는 것이다.
청년 취업자 수는 391만6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8000명 늘었다. 고용률은 41.4%로 0.3% 포인트 상승했다. 아르바이트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2.3%로 작년 2월(12.5%) 이후 1년 만에 최고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