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힘겨운' 가계, 부채는 늘고 '은행 문턱' 높아져


입력 2015.12.21 15:21 수정 2015.12.21 15:48        이충재 기자

미국 금리인상-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시중은행 깐깐해져

가계의 부채가 자산 증가속도 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한국의 금리도 상승압력을 받게 돼 가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자료사진) ⓒ연합뉴스

가계의 부채가 자산 증가속도 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 6명 중 1명은 연간 처분가능소득이 1156만원 이하인 ‘빈곤층’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한국의 금리도 상승압력을 받게 돼 가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당장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시중은행이 일제히 대출창구의 문턱을 올리고 있어 돈을 빌리기 어려운 서민들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몰리는 ‘악순환’도 우려된다.

가구당 평균부채 6181만원…소득은 4767만원

21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는 6181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2%(130만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금융부채가 4321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금융부채는 전년에 비해 203만원(4.9%) 늘었다. 또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은 각각 164만원(4.9%), 30만원(5.0%) 증가했다.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4246만원으로 전년 대비 707만원(2.1%) 늘었고,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4767만원으로 전년보다 109만원(2.3%) 증가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금융부채 증가율을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다.

소득원천별로는 근로소득이 3128만원으로 2013년보다 3.4% 늘고 공적이전소득은 239만원으로 13.2% 증가했다. 반면 사업소득은 1143만원으로 1.4% 감소했고, 사적이전소득(68만원)과 재산소득(189만원)은 각각 6.7%, 0.5% 줄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시중은행이 일제히 대출창구의 문턱을 올리고 있어 돈을 빌리기 어려운 서민들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몰리는 '악순환'이 우려된다.(자료사진) ⓒ연합뉴스

가계, 가처분소득 1/4 대출금 갚는데 쓰고 있어

특히 가처분소득의 1/4가량을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고 있었다.

가계부채 위험성의 척도인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DSR)은 지난해 20%를 넘어섰고, 올해 24.2%로 높아졌다. 이는 가계가 100만원을 번다면 24만2000원을 대출 상환이나 이자로 쓰고 있다는 뜻이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는 지난해 6.9%에서 7.1%로 늘었다. ‘1년 뒤 부채규모 전망’에 대해 58.3%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고, 10.8%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금융부채로 생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한 가구의 중 78.7%는 “가계의 저축 및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응답했다.

6명 중 1명은 연간 소득 1156만원 이하 '빈곤층'

또 국민 6명 중 1명은 연간 가처분소득이 1156만원 이하인 ‘빈곤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빈곤선(중위소득의 50%)은 연간 1156만원이고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계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16.3%로 나타났다. 빈곤의 심화정도를 나타내는 빈곤갭은 35.4%로 전년보다 1.1%p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노인층 빈곤율이 48.4%로 근로연령층(18∼64)의 빈곤율 12.0%의 4배에 달했다.

교육수준별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26.1%, 중학교 졸업 21.8%, 고등학교 졸업 14.5%, 대학교 졸업 이상이 7.2%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빈곤율이 떨어졌다. 성별로는 여자가 18.3%로 남자(14.3%)보다 높았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