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우조선 임원 10명+부장 이상 300여명 구조조정…삼성중은?


입력 2015.08.12 10:33 수정 2015.08.12 10:34        박영국 기자

삼성중 13일 임원 워크샵에서 자구계획 논의

지난해 2~3분기에만 도합 3조원의 적자를 낸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10월과 올 7월 두 차례에 걸쳐 100명 이상의 임원을 내보냄에 따라 올 2분기 ‘조단위 적자클럽’에 가입한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빌딩 앞 닻 조형물.ⓒ연합뉴스

대형 조선 3사의 대규모 적자에 이은 인적 구조조정이 결국 현실화됐다. 지난해 과장급 이상 1500명을 감원한 현대중공업에 이어 대우조선해양이 10명 규모의 임원 축소와 부장급 이상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고, 삼성중공업도 오는 13일 임원 워크숍에서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0일 리더급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영설명회에서 임원 30% 축소와 부장급 이상 고직급자 대상 인적쇄신 방안을 발표했다.

임원의 경우 내부 재무진단 결과에 따라 현직 임원 뿐 아니라 고문으로 고액 연봉을 받고 있는 퇴직 임원까지 부실경영의 책임 소재를 물어 이번 주 중으로 인사 조치를 단행할 예정이다.

감원 규모는 지난 6월 1일 퇴직 임원을 포함해 전체의 30% 규모다. 6월 퇴직 전 임원 수가 55명이었고, 당시 7명이 회사를 떠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추가로 9~10명의 임원이 감원될 예정이다.

또한 퇴직 후 예우 차원에서 2년간 고문으로 회사로부터 고액 연봉을 지급받고 있는 전직 임원들 중 일부도 퇴출 대상이다. 현재 대우조선해양 서울 본사 인근 YG타워와 미래에셋센터원빌딩 등에 사무실을 마련해놓고 있는 고재호 전 사장과 몇몇 전 부사장들이 대상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부장 이상 고직급자에 대한 인적쇄신도 병행할 예정으로, 9월 말까지 감원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부장, 전문위원, 이사부장 등 비임원 고직급자는 총 1300명에 달한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업무 평가와 직급별 연차 등 기준을 마련해 (감원)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으로, 전체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조직 슬림화 작업을 통해 부문과 팀, 그룹 숫자를 30%가량 축소한다는 회사측 방침을 감안하면 부장급 이상 보직도 줄어 300~400명가량이 감원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퇴출을 면한 임원들도 9월부터 ‘무보수’로 일하게 된다. 경영진부터 위기 상황 타개에 앞장선다는 차원에서 연말까지 4개월간 임금을 반납한다는 방침으로, 올해는 성과급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연봉 대비 35%에서 최대 50%가량이 삭감될 전망이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구조조정 방안이 나오진 않았으나 오는 13일 박대영 사장이 주재하는 임원 워크샵에서 어느 정도 밑그림이 그려질 전망이다.

이날 박대영 사장과 상근임원 90여명은 거제조선소에 모여 각자 담당 부문별 경영정상화 방안을 보고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박 사장은 보고된 내용을 다듬어 이르면 이달 중 구조조정 플랜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29일 실적발표 당시 임원 수 감축과 유사기능 통폐합 등 조직 개편 방침을 밝힌 상태다. 조직이 축소되면 보직도 줄기 때문에 임원 외에도 고직급자 감원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워크샵의 정식 명칭은 ‘경영정상화 대책회의’로 부문별로 실적 만회를 위한 대책회의가 주요 내용이 될 것”이라며 “인적 구조조정이 언급될지는 알 수 없다”고 전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