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청신호 켜진 하나-외환 조기통합, 그러나…


입력 2014.08.27 17:07 수정 2014.08.27 17:12        김재현 기자

금융위 27일 개최 15차 금융위 정례회의서 외환은행 카드 분할 승인

인도네시아·중국 현지법인 통합 이어 외환-하나SK카드 통합 가속화

대화 단절된 외환은행 노조 통합 '적신호'

금융위원회는 27일 개최된 15차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외환은행의 신용카드 부문 분할과 (가칭)외환카드 신용카드업 영위허가를 승인했다. 이로써 인도네시아·중국 현지법인 통합 이어 외환-하나SK카드 통합 가속화될 전망이다. ⓒ데일리안

금융당국이 외환카드 분사를 승인하면서 (가칭)외환-하나SK카드 통합작업이 가시화됐다. 이번 승인으로 하나-외환은행간 조기통합론도 탄력을 받게 됐다. 하지만 통합작업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을 위해서는 외환은행 노조와의 합의가 필요한데,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노조와의 통합 논의 물꼬조차 틀지 못하는 실정이다.

금융위원회는 27일 개최된 15차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외환은행의 신용카드 부문 분할과 (가칭)외환카드 신용카드업 영위허가를 승인했다.

외환은행은 지난 5월21일 금융위로부터 예비인가를 받은 후 280억원을 투입해 고객정보가 보관된 전산시스템의 물리적 분리를 완료했다. 이후 지난달 23일 금융위 본인가 신청서를 접수해 이날 본인가 승인을 받았다.

이번 카드 분사 승인으로 카드 통합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통합에 이어 중국 현지법인도 통합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외환-하나은행의 은행통합만 남겨두게 됐다.

내달 1일 창립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외환카드가 분사되면 바로 하나SK카드와의 통합 절차에 착수한다. 이달 중순 카드통합 이사회를 개최해 통합계약을 체결한 후 금융위의 카드 통합 승인을 받아 통합 카드사가 출범하게 된다.

외환카드와 하나SK카드가 통합되면 카드자산 6조원, 시장점유율 8.1%, 업계 6위권의 중견 카드사로 재탄생하게 된다.

올해 6월말 기준 점유율은 외환카드 3.4%, 하나SK카드 4.7%다. 또한 2013년 12월말 기준 외환과 하나SK카드의 자산은 각각 2조6000억원, 3억2000억원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카드 통합을 통해 얻게 되는 시너지 효과는 규모의 경제 기반 비용 효율화 시너지 750억원, 양사 역량 결집 기반 수익창출 시너지 870억원 등 개별 성장 대비 약 1600억 규모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사내 메일을 통해 그간 카드 분사를 위해 애쓴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카드사로 전적한 직원들의 건승을 기원했다.

김 행장은 "외환은행과 외환카드가 힘을 합쳐 신뢰받고 앞서 가는 글로벌 금융서비스로 고객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자"라며 힘찬 출발을 주문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하나금융은 2025년까지 비은행부문 이익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라며 "카드사 성장이 전략목표 달성의 주요 성공 요소인 만큼 그룹 차원의 다양한 지원과 방안을 마련해 집중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카드 분할 승인으로 인해 조기통합 분위기가 고조되는 양상이지만 반발하고 있는 외환은행 노조를 어떻게 안고 갈 것이냐는 숙제가 남아 있다.

특히 외환 노조는 외은 카드 분사 승인에 대해 하나금융만을 위한 특혜성 조치라며 날선 비난을 쏟아냈다.

정작 외환카드 분할은 하나SK카드의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서에는 "금감원이 요구하는 신용카드사 레버리지 비율을 충족하는데 필요한 자본금은 약 7000억원"이라며 "외환은행이 자산 3조원 규모의 알짜배기 흑자사업인 외환카드를 한 푼의 대가 없이 하나지주로 무상 이전하면서 6400억원의 자본금을 뜯겨야 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어 "하나지주의 카드사업 경영실패를 덮어주려고 외환은행과 외환카드의 직원, 고객 권익을 희생시킨 조치가 하나지주에 대한 특혜"라고 비난했다.

외환 노조는 카드통합과 관련해 강력 투쟁을 예고했다. 은행합병 등 2.17 합의위반 행위에 대해 헌법소원을 포함한 다양한 투쟁을 계속하는 한편 8월27일 집회와 9월3일 총파업 등 투쟁에 적극 결합할 방침이다.

김재현 기자 (s89115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재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