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尹 탄핵 못 막았지만 선거는 반드시 이겨야"…국민의힘 조기대선 전략은


입력 2025.04.07 06:10 수정 2025.04.07 06:10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발등에 불…중진회의·의원총회 잇단 개최

'반(反)이재명' 결집과 중도확장 전략 총력

주말간 청취한 지역구 민심 충실히 공유도

7일 선관위 출범…곧 경선 일정·규칙 발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국민의힘이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를 출범하고 조기 대선 준비를 본격화한다. 당내 경선 이후 당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진검승부를 고려해 특히 중도층 외연 확장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7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선 후보 경선을 관리할 선관위를 구성해 발표한다. 전날 4선 이상 중진 비상총회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며 조기 대선에 대한 의견을 모은 결과, 본격적인 '대선 체제'로 당을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조기 대선 기간 동안 국민의힘은 '반(反)이재명'을 기치로 지지층을 결집하는 동시에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하는 전략을 짜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본선에서 대결할 가능성이 큰 이재명 대표와의 승부를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전날 중진 비상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상실감이 큰 지지층을 위로하고, 대선을 위해서는 중도층의 마음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이야기들이 있었다"며 "중도 확장의 중요함을 말한 분들이 여럿 있었다"고 밝혔다.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중도층 확장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중 어느 편이 유리할지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국민의힘은 다자 경선 구도인 만큼, 보수부터 중도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한 후보자들이 출사표를 던지고 정책 경쟁을 통해 중도층의 주목을 이끌 수 있다. 민주당은 현재로서는 대항마가 없는 이재명 대표 일극 독주 체제다보니 경선이 흥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이 대표 지지율은 현재 각종 다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30%대로 압도적이다.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전원일치 파면 결정으로 그간 구축해 온 '일극 체제'가 더욱 공고해져 당내에서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기류가 무성한 상황이다.


반면 이 대표는 이미 민주당 대선후보가 된 것이나 마찬가지인 만큼, 강성 지지층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유롭게 '우클릭'을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런데 국민의힘 후보들은 경선 과정에서 강성 당원들의 눈치를 살피느라고 과감한 중도 확장 전략을 펼치지 못할 수 있다. '60일 초단기 대선'이라는 특성상 본선 후보로 선출된 뒤에 중도 전략을 펼치면 뒤늦다. 이런 점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유리한 요소다.


국민의힘은 지역 민심을 조기 대선 전략에 충실히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주말 사이 자신의 지역구에서 청취한 민심을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 파면 당일 박수민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비공개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조기 대선 전략을 짜기 전) 일단은 국민들의 목소리를 낮은 자세로 듣는 시간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의원총회에서 지도부는 재신임하기로 했다. 조기 대선 일정이 촉박해 지도부를 새롭게 정비할 시간이 부족할 뿐 아니라, 현 지도부는 당 체질 개선 임무를 맡은 혁신형이 아닌 조기 대선 준비를 위한 '관리형 지도부'라는 이유에서다.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일부 의원들은 지도부 사퇴 의견을 냈지만 전체적으론 재신임 의견이 수렴됐고, 현재 지도부에서 남아 있는 일정까지 최선을 다해서 수행하라는 의미에서 재신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경선 일정과 규칙은 이날 선관위 구성 이후 발표할 계획이다. 서 원내대변인은 "선관위가 구성돼야 구체적인 경선 일정과 대선 후보 선출에 대한 논의들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선 일정은 공직선거법이 정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사퇴 시한 등을 고려하면 아무리 늦어도 5월 4일 이전에 종료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지자체장 사퇴 시한과 관련이 있는 대권주자는 오세훈 서울특별시장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다. 홍 시장은 곧 대구시장직을 내려놓고 대선에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반면 오 시장은 서울시장직을 보유한 채로 경선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 만일 대선 본선에 출마하게 된다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조기 대선 30일 전인 5월 4일까지는 서울시장직을 사퇴해야 한다. 그런데 그날까지도 최종 후보가 확정되지 않고 경선이 계속된다면 직을 내려놓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그 전에는 경선이 끝날 수 있도록 당이 일정을 맞출 것이란 예상이다.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2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슛돌이 2025.04.07  01:14
    북한도 하지 않을 짓을 하네. 대한민국의 전복과 전쟁을 도모하던 내란수괴를 지켜주지 못했다고??  대한민국 전복을 목적으로 한 중동 테러단체인듯
    0
    0
  • feriferi 2025.04.07  09:22
    정신나간 ㄴ ㅗ ㅁ.
    대통령도 못 지키면서 뭔 대선,
    누가 니들을 찍어주것냐 ?
    
    
    0
    0
2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