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HMM 민영화' 2~3년 뒤로 밀리나...매각 '시계제로'


입력 2024.12.19 12:55 수정 2024.12.19 13:02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HMM 둘러싼 환경, 매각 재추진 어렵게 해

전문가 "2~3년 뒤로 매각 미뤄야 할 수도"

HMM의 컨테이너 선박ⓒHMM

국내 최대 선사 HMM의 민영화가 올해도 진척 없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HMM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이 매각 작업 재추진을 가로막고 있어서다. HMM의 몸값이 높아진 상황에 갑자기 국내 정국마저 혼란스러워지면서 사실상 매각 작업은 스톱된 상황이다. 일각에선 향후 운임 폭락 등 예상 가능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매각 작업을 2-3년 뒤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인 KDB산업은행(이하 산은)과 해양진흥공사(이하 해진공)이 HMM의 민영화를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 당초 연내 재추진될 것으로 예상됐던 매각 작업이 여러 요인에 발목 잡혀 사실상 무산되면서다.


매각 작업에는 여러 걸림돌이 있다. 가장 큰 암초는 HMM의 치솟은 몸값이다. 현재 산은과 해진공은 HMM을 상대로 발행한 영구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물량을 도래 시기마다 주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내년 4월 1억4400만주까지 전환하게 되면 채권단의 지분율은 71.7% (7억3480만주)까지 늘어난다.


주가를 단순 반영해 몸값을 추산해보면 약 12조원까지 치솟는다. HMM 인수에 나선 기업들이 제시한 6조원 가량의 몸값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HMM의 실적이 고공행진하며 기업 가치가 치솟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HMM은 올 3분기까지 누적 매출 7조5453억원, 영업이익 2조5128억원을 기록했다. 예멘 후티 반군의 공격으로 인한 홍해발 해운 대란,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증가 등으로 해상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해 온 영향이다.


이러한 고운임 기조가 내년까지도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25년 물류시장 전망 세미나에서 "트럼프 2기 관세부과 발표와 미국 항만노조 협상시한 만료에 앞서 제조업체들의 완제품 밀어내기 선적 증가로 운임 추가 상승 여지가 크다"고 분석했다.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미물류공급망센터장도 "트럼프 2기는 무역적자 해소, 제조업 육성, 중국 견제 등을 목표로 관세정책과 미국 내 법인세 감세정책 등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이라며 "트럼프 2기의 강력한 불법이민자 추방 정책은 단기적으로 물류창고, 트럭킹(화물운송), 라스트마일(배송) 분야에서 인력난과 임금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주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 대비 127.94포인트(p) 오르며 2300선을 돌파했다. 지난해 12월 15일 SCFI는 1093.52로 1000선에 머무는 데 그쳤다. 통상 해운사들은 1000선을 손익분기점으로 여긴다.


국내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는 점도 HMM 매각 추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혼란이 증폭된 상황에서 정부 기관인 채권단이 정책적 판단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의 임기도 내년 6월 종료된다. 2022년 6월 취임한 강 회장은 오는 2025년 6월 임기를 종료한다. 내년 4월 진행될 영구채 전환까지 마무리한 뒤 매각 작업에 돌입한다해도 임기 내 마무리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강 회장의 연임이 가능하다면 매각 작업 재착수가 가능하지만, 현 정국을 고려하면 연임은 어려울 수 있단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일각에선 이같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 매각 작업을 뒤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양종서 수출입은행 수석연구원은 "현 운임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선복공급량을 볼때 1~2년 내로 운임이 급하락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런 예정된 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데 매각 작업 등을 통해 주인이 바뀌면 적절한 대응을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내년에도 매각 작업은 진행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2027~2028년에야 매각 작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