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2024 美대선] ‘보호무역’ 트럼프 당선, 韓 해운·물류에 악재…장기전 대비해야


입력 2024.11.07 09:00 수정 2024.11.07 09:00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보호무역 내세운 트럼프 재당선

선거 때부터 ‘10% 보편 관세’ 강조

중국 ‘밀어내기’ 해운 수요 급증 예상

해운 당국 장기 대응 고심해야

제47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한 도널드 트럼프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국내 해운업계도 향후 정세 변동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양한 분석이 혼재한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호재(好材)보단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6일(현지 시각)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했다. 트럼프는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부통령과 박빙의 승부 끝에 백악관 재입성에 성공했다.


트럼프의 재선으로 한국 해운수산업계는 앞으로 적지 않은 파고가 예상된다. 트럼프가 4년 전 대통령 때 펼친 경제 정책 기조를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보호무역에 따른 수출량 감소나, 환율 리스크, 에너지 가격 상승 등 하방 위험 요인이 줄을 잇는다.


트럼프는 노골적으로 보호무역을 강화해 왔다. 이번 선거운동 기간에도 ‘관세’를 무기로 자국에 이익이 되는 무역을 강조해 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로 인해 제조업이 미국으로 회귀할 것”이라며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60% 관세를 매기고, 다른 수입품에는 10~20%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실제로 관세를 강화하면 우리 수출 경제는 타격을 피할 수 없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트럼프가 만약 10% 보편 관세를 실행할 경우, 한국의 대미(對美) 수출액은 152~304억 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나아가 다른 국가들의 미국 수출 감소로 한국산 중간재 수요가 감소하면서 총수출액이 최대 448억 달러(62조원)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24~0.67% 감소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한국은 무역의 98%가 바다를 통해 이뤄지는 만큼 해운업계는 수출입 감소 영향을 직격으로 맞게 된다.


트럼프는 재집권 모든 수입품에 대해 최소 10%의 보편적 기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는 원자재와 부품 조달 계획뿐만 아니라, 물류 이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례로 지난 6월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산 관세 인상을 발표한 직후 중국이 ‘밀어내기 수출’을 하면서 예약 가능한 선복량이 크게 줄어들며 해상운임 크게 오른 바 있다.


트럼프가 실제 관세정책을 강화하기 전 선복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늘어난 선복 수요는 특정 항만 혼잡을 키운다. 운임 또한 상방 압력으로 작용해 비용 통제가 어려워지는 수준까지 이를 수 있다. 대체 항로를 모색하는 과정에 추가 유류비를 부담하는 상황도 펼쳐질 수 있다.


보호무역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환율 변동만큼 해운업계 부담도 늘어난다. 해운사는 외화 채무 부담 때 환율 리스크에 직면하게 된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위기 등 지정학적 오인까지 가세하면 항만 혼잡, 물류 지연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부담은 운송료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해양수산부도 비슷한 판단이다. 최소한 일시적인 컨테이너 운임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했다.


해수부는 보호무역 강화 시 관세 인상 전까지 물량 밀어내기와 연말 성수기 수요 등으로 일시적 운임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장기적으로는 관세 인상에 따른 미국발 물동량 수요 감소로 해상운임 하방 압력이 강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경우에 따라 신규 시장이 생길 가능성도 내다봤다.


해수부 관계자는 “미·중 갈등 지속 여부와 니어쇼어링(nearshoring) 확산 등 각국 정책에 따라 멕시코나 남미, 동남아 등 새로운 운송 수요가 창출될 수도 있다”면서 “향후 미국 무역정책과 해상물류 영향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국적선사 경영 안정을 위한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