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카카오 판교 사옥서 긴급 기자회견 개최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카카오 먹통’ 사태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 남궁 대표는 이번 사태에 책임을 인정하고 사퇴를 선언했다.
남궁훈·홍은택 각자대표는 1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열린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 관련 기자회견'에서 대국민 사과를 한 후 장애 원인, 재난 및 보상 대책에 대해 밝혔다.
홍은택 대표는 “카카오톡은 이제 국민 대다수가 쓰기 때문에 공공성을 띠는 서비스지만 저희는 그에 부합하는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이번에 복구가 늦어진 이유를 고통스럽더라도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직접적인 원인과 그 배경이 되는 간접적인 원인까지 방대하게 조사할 예정”이라며 “현재는 복구가 급선무이기 때문에 대략적인 원인만 파악한 단계이며 복구가 완료되는대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궁훈 대표는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퇴를 선언했다. 남궁 대표는 “카카오 서비스를 책임지는 대표로서 어느 때보다 참담한 심정과 막중한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카카오 쇄신과 변화의 의지를 다지고자 대표이사직을 내려놓고, 이번 사태를 끝까지 책임지고자 재난대책소위원회를 맡아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홍은택 대표는 카카오 측의 재난대책에 구멍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홍 대표는 “데이터센터는 국가안전시설이라 할 만큼 중요시설로 운용되고 있고 한번도 데이터센터 자체가 셧다운된 적이 없었다”며 “데이터센터 전체 다운을 상정하지 못했으며 이번 사태가 가장 큰 교훈이 됐다. 앞으로 데이터센터 한 곳이 셧다운 돼도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평소 재난대비 훈련을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홍 대표는 “제야의 종소리가 들릴 때 카카오톡 트래픽이 가장 많아 제야의 종소리라는 이름으로 모의훈련을 하고 있다”면서도 “이번처럼 데이터센터 셧다운으로 인한 훈련은 없었다”고 했다.
서버 이중화가 안돼 사실상 서비스 복구가 지연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이중화 수준이어느정도인지로 볼 문제”라며 “고객 데이터와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이중화 조치는 돼있었는데 그걸 다루는 개발자들의 주요 작업 및 운영도구를 이중화하지 못한 건 치명적인 실패”라고 책임을 인정했다. 그러면서 “이 도구들의 이중화는 판교 데이터센터 운영이 안정화되는 대로 시작하겠다. 안정화 이후 2개월 안에 유사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답했다.
자체 데이터센터 완공 시기도 공개했다. 카카오는 4600억원을 투입해 내년 9월경 안산에 자체 데이터센터를 완공할 예정이다.시흥에서도2024년 1월 데이터센터의 착공을 목표하고 있다. 카카오는 자체 데이터센터는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방화,내진과 같은 방재시설을 더 안전하게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피해보상안 발표까지는 최대 2주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봤다. 현재는 정확한 화재 원인 파악 중으로 SK C&C와 피해보상에 대해 논의할 단계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배상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무료 서비스 이용자 보상 계획에 대해서는 “무료서비스 보상 조항뿐 아니라 선례도 없다”며 다양한 사례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료 서비스에 대한 직접보상은 정확한 계산을 해보지 않아 확정하기 어려우나 서비스 중단 시간이 길면 3일이어서 규모가 크지 않다고 했다. 간접보상액에 대해선 “기준을 세워봐야 알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사태의 1차적 원인은 SK C&C에 있는데 카카오에 비판 여론이 쏠리는 것이 억울하지 않냐는 데 대해서는 “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물을 뿌려야 된다는 판단을 소방서가 했고, 소방서가 현장통제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게 맞다”면서 “카카오를 향한 많은 비판은 카카오에 대한 기대가 반영됐다고 생각한다. 비판에 대해서는 달갑게 받도록 하겠다”고 했다.
남궁훈 대표 사퇴 후 내부 사업을 추진하는 주체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이에 홍 대표는 “신규사업 대부분은 권미진 수석부사장 산하에서 이뤄진다”며 “권 수석부사장 지휘 하에 계획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남궁 대표는 퇴사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고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은택 대표는 ‘쪼개기 상장’을 한다는 비판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그는 “쪼개기 상장보다는 씨를 뿌리고 키워 성장시키는 방식”이라며 “그것이 기업을 효과적으로 성장시키는 방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