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기재부 1차관, 혁신성장 점검회의 개최
“고용, 민생에 가장 큰 영향…일자리 창출 총력”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내수 회복을 위해 고용여건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6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 뉴딜 점검회의’에서 “고용지표가 플러스(+)로 전환된 것은 고무적이지만 고용회복세가 공고화하기까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차관은 최근 발표된 4월 수출입 동향을 언급하며 “최근 우리 수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이전으로 경기회복을 견인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 우리 제조업의 높은 경쟁력 등을 감안할 때 수출 증가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19 등 수출 여건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수출입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양호한 수출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수출물류, 금융, 비대면 수출지원 등 다각적 정책지원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고용동향에 대해서는 3월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31만4000명 증가한 사실을 거론하며 부진에서 벗어났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고용은 경기후행성으로 다른 부문에 비해 회복이 더디지만 민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라며 “고용시장 안정과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린에너지 사업에 대해서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수소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해 2025년까지 모두 11조3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한국형 RE100 확산을 위한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거래플랫폼을 올해 상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계획을 말한다.
이 차관은 “복잡한 인허가 과정을 일괄처리하는 원스톱샵 입법도 추진하는 등 그린에너지 민간 확산이 가속화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