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DLF서 사실상 첫 원금 전액 손실 확정
금리쿠폰 1.4%·수수료 0.5%만 회수 가능
투자 4개월 만에 1억원이 190만원으로
금리쿠폰 1.4%·수수료 0.5%만 회수 가능
투자 4개월 만에 1억원이 190만원으로
국내 은행들이 판매한 파생결합펀드(DLF)을 둘러싸고 투자자 손실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 국채금리 연계 DLF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원금 전액을 날린 사례가 나오게 됐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26일이 만기인 우리은행의 DLF 상품 손실률이 98.1%로 확정됐다. 여기에 1억원을 넣은 가입자는 4개월 만에 190만원 남짓만 돌려받게 된 셈이다. 이 상품은 4개월 초단기 만기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에 연계해 투자됐다. 판매량은 48건, 8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해당 상품은 은행들의 DLF 손실 논란이 불거진 이후 처음으로 원금 100% 손실을 기록하게 됐다. 다만 원금 손실 여부와 무관하게 확정 수익금리 금리쿠폰을 1.4% 지급하기 때문에 고객은 원금은 모두 날리고 이에 해당하는 수익금만 받게 된다. 여기에 자산운용 잔액 변화로 수수료 일부가 정산돼 0.5% 정도가 고객 몫으로 돌아온다.
이 상품은 독일 국채 금리가 -0.3% 아래로 떨어지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는 구조다. -0.6%보다 더 떨어지면 원금 전부를 잃을 수 있다. 그런데 손실률 산정의 기준 시점인 지난 24일 독일 국채금리(종가)가 -0.604%를 기록하면서 원금을 모두 날리는 손실이 확정됐다.
이번 달 들어 독일 국채 10년물 등 주요국 금리가 ·0.45%까지 회복되는 등 잠시 반등세를 보이면서 DLF 손실폭은 다소 축소되기도 했다. 이에 지난 19일 첫 만기를 맞은 우리은행 DLS 가입자들의 손실률은 60% 선에서 확정됐다. 하지만 최근 일주일 새 다시 금리가 고꾸라지면서 독일 국채 상품 대부분은 원금 전액 손실 구간에 들어갔다.
한편, DLF 투자자들은 법적 대응을 본격화했다. 이날 오전 금융소비자원과 법무법인 로고스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을 상대로 DLF 사기와 불완전 판매로 인한 계약 취소 및 손해배상 청구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