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농협 등 회원사들, 비대면 결제 시 병기하던 BC 명칭 배제 ‘움직임’
로고도 뒷면으로…회원사들 "결제망 브랜드 너무 내세우지 말라" 불만
우리-농협 등 회원사들, 비대면 결제 시 병기하던 BC 명칭 배제 ‘움직임’
로고도 뒷면으로…회원사들 "결제망 브랜드 너무 내세우지 말라" 불만
BC카드가 최근 모바일 플랫폼 ‘페이북(PAYBOOC)’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선 회원사들이 선긋기에 나서고 있다. 업황 악화 속 카드사들이 저마다 플랫폼을 구축하고 고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터에 결제망을 제공하는 BC카드의 존재감 확대가 자칫 회원사들의 브랜드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우리-농협 등 회원사들, 비대면 결제 시 병기하던 BC 명칭 배제 ‘움직임’
14일 카드업권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모바일 결제 시 주로 표기되던 ‘우리BC카드’ 대신 ‘우리카드’라는 자체 브랜드명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우리카드의 경우 그동안 자체 결제망 없이 비씨카드 결제 프로세싱을 통해 카드 결제가 전면 진행됐던 만큼 공동 명칭 사용을 통해 BC와의 협업체제에 방점을 둬 왔으나 최근들어 일종의 거리두기에 나서면서 '우리BC카드'를 통한 결제를 찾아보기 쉽지 않게 된 것이다.
타 회원사들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IBK기업은행, SC제일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등 회원사 상당수가 BC와의 명칭 병기 대신 독자구조를 택하는 방식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는 양상이다. 대신 BC카드는 자사 결제창 선택란에 해당 회원사 고객들도 결제가 가능하다는 문구를 포함시킴으로써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
회원사들의 이같은 변화는 카드 외관만 보더라도 여실하게 감지된다. 과거 카드 플레이트 전면에 배치됐던 BC카드 로고는 최근들어 후면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특히 카드 디자인이 중요시된 최신 트렌드에 따라 BC카드를 상징하는 빨강색 색상 대신 흰색 CI를 사용하고 로고 역시 잘 보이지 않는 곳에 배치된다는 점도 일선 회원사와 BC 브랜드 협업에 대한 인식을 희석시키고 있다.
한 회원사 관계자는 "명칭만 바뀐 것일 뿐 기존 사용하던 (BC) 결제망에 별다른 변화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여전히 BC나 자사 브랜드 등 어느 항목을 선택하더라도 동일하게 결제가 가능하다"면서 "그럼에도 개별 금융기관마다 자체 모바일 플랫폼을 별도로 구축하고 있는 만큼 고객들을 자사 플랫폼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취지도 없지 않다”고 설명했다.
로고도 후면으로…회원사들 “결제망 브랜드 너무 내세우지 말라” 불만
실제로 BC카드는 최근들어 금융기관들의 단순 결제망 지원사업을 뛰어넘어 지난 2017년 출시한 모바일 플랫폼 ‘페이북’ 강화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페이북을 기반으로 한 계좌이체 기반 QR 결제사업에도 본격 뛰어들면서 기존 카드 결제 회원사가 아닌 은행들과도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페이북을 기존 회원사들만의 한정된 결제 플랫폼이 아닌 보다 보편화된 결제 플랫폼으로 확장시키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회원사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새어 나온다. BC카드가 자신들의 결제 플랫폼을 확장시켜 고객들의 선택 폭이 늘어날수록 그 반대급부로 회원사들이 누릴 수 있는 장점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최근 개별 금융회사들이 저마다 자신들만의 결제 플랫폼을 구축해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점 역시 결제 과정에서 단순 협업관계가 아닌 일종의 경쟁관계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관계자는 “BC카드가 (카드 결제 프로세싱에 대한)브랜드 롤이 큼에도 마치 카드 발급사인 것처럼 마케팅 등에 전면으로 나서는 것에 대한 불만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결국 결제시장에서 함께 경쟁에 나서야 하는 회원사들 입장에서는 BC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대신 자신들의 브랜드를 더 많이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존재감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