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파트 없앤 국정원 해외활동 '부각'…"도움주길 바란다"
'정치개입 논란' 불식 의도도…"활동무대는 해외다" 메시지
국내파트 없앤 국정원 해외활동 '부각'…"도움주길 바란다"
'정치개입 논란' 불식 의도도…"활동무대는 해외다" 메시지
"국정원에서도 필요한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와 관련해 '국정원의 역할'을 거론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30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긴급대책회의 모두발언을 마치며 국정원에 "필요한 도움을 달라"고 콕 집어 언급했다. 이날 회의에는 관계부처 장관들과 함께 서훈 국정원장도 배석했다.
특히 청와대는 이번 사건을 '새로운 국정원'의 진가(眞價)를 보여줄 수 있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국정원의 국내 정보파트를 없애고 국가 안보와 해외정보 분야에 주력하는 새로운 조직으로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다. 기존에서 바꾸려는 명칭도 '해외안보정보원'이다. 해외에서 발생한 국민 안전사고에 국정원을 거론한 배경이다.
국정원 파견 규모‧동선까지 거론하며 '해외활동' 강조
여권 한 핵심관계자는 31일 기자와 만나 "언론에서 주목하지 않았지만, 대통령이 특별히 국정원을 언급한 것은 정치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현재 국정원은 최근 서훈 원장과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의 '비밀회동'논란으로 국내정치 개입 의심을 받고 있다. 이에 문 대통령의 '특별언급'은 "우리정부 국정원은 국내정보 수집은 하지 않고, 해외활동에 주력한다"는 우회적 메시지라는 설명이다.
정부도 국정원의 활동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31일 외교부에 따르면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급파된 신속대응팀은 청와대 2명과 외교부 8명, 국정원 4명 등 총 39명 규모로 구성됐다. 전날 오후 1시쯤 외교부 직원들이 1차 선발대로 인천을 출발했고, 인근 국가에서 근무 중이던 국정원 직원 4명이 합류했다. 정부가 특정 사안에 국정원 직원의 파견 여부는 물론 규모와 구체적인 동선까지 공개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