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융권 메기?'…시작부터 힘 빠진 ‘제3인터넷은행’


입력 2019.03.26 06:00 수정 2019.03.25 17:45        배근미 기자

“흥행 중요치 않다” 말은 했지만…3년간 자본규제 ‘유예’ 방침 밝혀

외국자본·자본금조달 등 규모의 한계 넘어설까…5월 심사결과 발표

“흥행 중요치 않다” 말은 했지만…3년간 자본규제 ‘유예’ 방침 밝혀
외국자본·자본금조달 등 규모의 한계 넘어설까…5월 심사결과 발표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출범한 한국카카오은행 영업이 시작된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세빛섬에서 열린 카카오뱅크 출범식에서 이용우, 윤호영 카카오뱅크 공동대표가 인사를 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의 뒤를 잇는 '신규주자들'의 진입을 통해 은행업 경쟁 촉진을 비롯한 금융혁신에 속도를 내겠다던 당국의 목표는 당초 바람대로 이뤄질 수 있을까. 불과 일주일 만에 신한금융 등 대형사들의 줄이탈과 재구성 등 급박한 상황이 잇따른 가운데 ‘제3인터넷전문은행’ 추가인가 레이스의 본격적인 막이 올랐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날부터 이틀 간에 걸쳐 제3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 접수를 받은 뒤 오는 28일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이번 추가 인가를 통해 최대 2곳의 인터넷전문은행을 출범시키겠다고 공언했던 만큼 은행업 추가 인가를 둘러싼 보다 후보군 간 치열한 혁신금융서비스 경쟁은 필수로 꼽혔다.

현재 제3인터넷전문은행에 출사표를 던질 유력 후보로는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등이 참여한 ‘키움뱅크 컨소시엄’과 ‘토스뱅크 컨소시엄’ 2곳이 꼽히고 있다. 그러나 당초 신한금융지주와 현대해상 등이 참여하기로 했던 토스뱅크의 경우 막판 대형사들의 이탈 변수로 인가 여부 향방이 미궁 속에 빠진 상태다.

신한금융과의 결별로 금융주력사는 없지만 소외계층에 최적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챌린저뱅크’으로써의 가능성을 주창한 토스뱅크는 비바리퍼블리카(지분 67%)를 주축으로 영국의 몬조(Monzo)·레볼루트(Revolut), 브라질의 누뱅크(Nubank) 등 글로벌 벤처캐피탈사 3곳의 컨소시엄 참여(지분 9%)를 발표하며 완주 의지를 분명히 하는 한편 향후 주주 추가 구성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다.

특히 금융권 안팎에서 지속적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 자본금 조달 부분에 대해서도 “VC를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현재 인터넷은행 설립을 위한 최소 자본금은 250억 원 수준이지만 실제 인터넷전문은행의 운영을 위해서는 그보다 더 큰 자본금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다. 전문가들은 은행업 영위를 위해서는 향후 3년간 최소 1조원의 자본금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처럼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인터넷전문은행 구성에 새로운 플레이어들의 금융권 진입을 적극 추진해 온 금융당국 또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신한금융의 ‘토스뱅크 컨소시엄’ 이탈에 대해 다소 의외라면서도 “우리가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닌 만큼 ‘흥행’보다 ‘진정성’을 갖고 인터넷전문은행사업을 영위할 신청자들이 많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기존 대형사들조차 자본조달은 물론 자본규제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국은 예비인가 신청 이틀 전인 지난 24일 “감독규정 개정을 통해 신규인가 인터넷전문은행에게는 22년까지 바젤Ⅲ와 같은 은행자본규제를 유예 및 완화해주겠다”며 도전자들의 부담 경감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올해 초 금융당국이 개최한 인가심사 설명회에서는 신규인가 인터넷은행 출범과 동시에 바젤Ⅲ 규제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같은 규제 강화 기조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토스뱅크 주주 추가 구성과 예비인가 통과 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금융당국의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평가항목 중 사업계획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자본금 규모와 자금조달 방안, 대주주 및 주주 구성계획 등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도 초기 자본금은 2500억~3000억에 이후 자본금을 1조원 이상으로 늘렸지만 여전히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융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원활한 영업을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자금조달이 필수인 만큼 이같은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야 예비인가를 받을 수 있을 것"고 말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