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부채 7531만원…40대·임시일용직 빚 급증
통계청과 금감원·한은,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발표
우리나라 가구가 짊어진 빚이 평균 7531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와 임시·일용직 가구가 부채 증가세를 이끌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0일 공동 발표한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7531만원으로 지난해(7099만원)보다 432만원(6.1%) 증가했다. 부채를 지닌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2%포인트 증가한 63.7%를 기록했다.
이 중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신용카드 관련대출 등 금융부채가 평균 5446만원으로 전체 부채의 72.3%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05만원(8%) 증가한 수준이다. 나머지 부채인 임대보증금도 2085만원으로 전년대비 27만원(1.3%) 늘었다.
빚은 40대 가구에서 큰 폭 불어났다. 이들 가구주의 평균 부채는 9896만원으로 지난해(8637만원)보다 14.6% 급증했다. 그동안 가장 많은 부채를 보유했던 50대(8602만원) 수준을 추월한 것이다. 50대 부채는 1년 전보다 0.8% 감소했다. 30대 가구주의 부채도 13.8% 늘어난 7873만원으로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30~40대 부채가 늘어난 것은 빚을 내 주택 마련 등에 나선 가구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폭증했던 30세 미만의 청년층 부채는 2397만원으로 전년대비 0.2% 늘어나는데 그쳐 증가세가 주춤해졌다. 60세 이상 고령층 부채는 5385만원으로 3.6%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일용근로자의 부채 증가세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나타냈다. 상용근로자 부채(8888만원)는 1년 전보다 9.1%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근로자 부채는(3350만원) 14% 늘었다. 부채 규모 자체는 크지 않았으나 증가세가 가팔라진 셈이다.
소득별로 보면 고소득층에 해당하는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주의 부채가 8.8% 늘어난 1억6871만원으로 조사됐다. 증가율도 가장 높았고 규모도 가장 많았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주의 부채는 1579만원으로 4.3% 늘었으나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로 0.1%포인트 축소됐다.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소폭 나아졌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자산대비 부채 비율은 18.1%로 지난해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금융부채가 늘긴 했으나 평균 자산(4억1573만원)도 지난해 수준(3억8671만원)보다 7.5% 증가한 데 따른 거이다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56.9%로 절반을 넘어섰다. 이들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1년 전보다 7.8% 늘어난 9566만원이었다. 소득은 평균 6522만원으로 조사됐고 자산은 4억5950만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3%에 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