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입제도개편 권고 "수능전형, 비율 정하지 않고 현행보다 확대"


입력 2018.08.07 11:01 수정 2018.08.07 11:02        이선민 기자

“중장기적 전과목 절대평가…2022년에 도입하는 것은 빨라”

김영란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중장기적 전과목 절대평가…2022년에 도입하는 것은 빨라”

국가교육회의가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육부에 이송할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 발표에서 수능위주전형의 비율은 정하지 않되, 현행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할 것을 권고했다.

현행 고등교육법상 대입전형 비율은 대학 자율이었지만, 수능위주전형으로 45% 이상 선발하는 내용이 주가 되는 의제1이 시민참여단에게 가장 높은 지지를 받으면서 국가교육회의가 이대로 발표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구체적인 비율은 생략됐다.

국가교육회의는 “공론화위원회는 시민참여단이 수능위주전형의 일정한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했고, 일반대학의 적정 수능위주전형 비율에 대한 조사 결과 중간 값으로 보면 응답자가 적절하다고 본 수능 비율은 약 39.6%라고 볼 수 있다”며 “그러나 대학이 놓여있는 다양한 상황, 대학별 선발방법 비율의 다양성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수능 평가방법의 경우, 일부 과목 상대평가 유지 원칙 적용이 권고됐다. 국어, 수학, 탐구 선택과목은 상대평가, 영어, 한국사는 절대평가인 기존의 방법을 유지하면서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전환할 예정이다.

수능과목 구조에서 모든 학생들이 기초소양 함양을 위해 필수 이수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포함될 경우 이 과목에 대해서는 절대평가가 도입된다.

국가교육회의는 “공론화위원회는 중장기적으로도 전과목 절대평가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26.7%로 시민참여단은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에서 전과목 절대평가로의 전환은 이르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했다”며 “또한 시민참여단 조사 결과, 수능위주전형 확대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수시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활용 여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그 활용 시에는 선발 방법의 취지를 고려할 수 있도록 권고됐다. 공론화 과정에서 대학의 자율적 활용에 대해 시민참여단의 큰 이견은 없었기 때문이다.

국가교육회의는 앞으로 학생부위주전형과 수능위주전형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안, 중장기적으로 수능 절대평가의 단점 보완 방안 등을 교육비전 및 중장기 교육개혁 방향 마련과 연계하여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의 권고안을 전달받아 이달 말까지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