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친문·뼈문·진문… 野 계파갈등 재현한 '부엉이 모임' 결국 해산
계파정치 우려 목소리 나오자 일단 해체키로
"추후 향방 결정…전대 영향력 행사 없을 것"
계파정치 우려 목소리 나오자 일단 해체키로
"추후 향방 결정…전대 영향력 행사 없을 것"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이른바 친문(친문재인) 핵심그룹으로 알려진 '부엉이 모임'이 5일 결국 해산됐다. 차기 지도부 선출을 앞두고 부엉이 모임이 계파정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 안팎에서 논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부엉이 모임 회원인 전재수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공식적으로 (부엉이 모임을) 해산하기로 했다"며 "추후에 연구모임으로 갈지, 이것조차도 전당대회가 끝나고 난 뒤에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간사 역할을 한 황희 의원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부엉이 모임은) 대선 경선에 고생했던 의원들 간 밥 먹는 자리였었는데, 그마저도 그만두려고 한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전해철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부엉이 모임 소속) 의원들이 모여서 '자체 해산하자, 보지 말자'고 결정했다"면서 "조금이라도 민감하고 문제를 제기할 소지가 있는 것이면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 더구나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런 얘기(계파)가 나온 것은 후보에도 당에도 좋지 않다"고 전했다.
"당대표 선거 좌지우지?…영향력 행사 없을 것"
민주당은 세간의 시선과 달리 부엉이 모임이 전당대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조직적으로 당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모임이었다면 그것이 1년 이상 알려지지 않다가 지금 문제가 될 순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간 당 안팎에선 부엉이 모임의 존재를 놓고 친문이 세를 결집해 당대표 선거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표창원 의원은 "좋은 취지들이겠으나 필연적으로 인사나 청탁 등과 연계 우려 있으며 불필요한 조직 내 갈등의 빌미가 된다"며 부엉이 모임 해체를 촉구했다.
이종걸 의원도 라디오에 출연해 "우물가에서 물을 퍼야지 숭늉을 찾으면 안 된다"며 "우물가에 온 우리에게 국민이 지시하고 지지해주는, 해야 할 일이 분명히 있다"고 우회적으로 비난했다.
김성태 "우리처럼 망할 수 있어" 일침
친문 그룹이 '신(新)친문' '뼈문(뼛속까지 친문)' '진문(진짜 친문)' 까지 분화되면서 일각에선 '원박'(원조 친박) '골박'(골수 친박) '양박'(양아치 친박)으로 나뉘어 계파 갈등을 벌인 과거 한국당과 닮은 꼴이라는 지적도 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에 대해 "우리처럼 위험해지고 망해갈 수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김 권한대행은 "집권당은 대통령 권력에 치중하고 대통령 권력만을 위한 당 체제가 되길 희망하냐"며 "그렇게 되면 수평적 당·청 관계가 되지 못하고 당내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