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이번주 방북…트럼프, 北비핵화 속도조절 주목
FT “폼페이오, 7월 6일 평양 출국 위해 기존 일정 취소했다”
트럼프 ‘칠면조 요리’ 빗대 비핵화 장기전 시사…美 방법론은
美, 北 16년째 최악 인신매매 국가 지정…협상 전략 vs 변수
FT “폼페이오, 7월 6일 평양 출국 위해 기존 일정 취소했다”
트럼프 ‘칠면조 요리’ 빗대 비핵화 장기전 시사…美 방법론은
美, 北 16년째 최악 인신매매 국가 지정…협상 전략 vs 변수
이번주 북미 간 고위급 후속회담이 재개될 전망이다. 6월12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처음 열리는 고위급 접촉으로, 구체적인 비핵화-체제보장 로드맵이 논의될지 주목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번주 북한을 방문해 비핵화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FT는 미 고위 관료를 인용해 "폼페이오 장관이 오는 7월 6일 평양으로 출국하기 위해 인도 외무장관과의 회담 계획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앞서도 북미 후속협상이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북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시작이 늦어졌다. 특히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3차 방중이 이뤄지면서 북중 간 밀착관계로 후속협상이 미뤄지는 듯한 양상을 보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 수일 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관련 공식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꾸준히 제기됐다. 미 국무부는 "현재 발표할 만한 어떤 방문 일정도 없다"면서도 "북한 당국과 계속 접촉하고 있으며, 최대한 이른 시일내 북측 인사와 만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혀왔다.
이 가운데 한미가 북한의 체제보장 조건에 따라 연합훈련을 잠정 중단하고, 북한도 인도적 조치 차원에서 미군 유해 송환에 나서면서 북미 후속협상을 위한 분위기 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마주 앉을 북측 고위급 인사로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등이 거론된다. 여기에 리수용 당 부위원장도 북미 후속협상에 힘을 실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가시화되면서 북미 정상 간 큰 틀의 합의를 이룬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정착을 구체화하는 조치가 다음 주부터 본격 시동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그동안 북한의 비핵화 해법으로 일괄타결, 즉 '원샷 딜' 방식을 고수했지만, 북미정상회담 이후에는 속도조절론을 꺼내 장기전을 염두하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을 '칠면조 요리'에 빗대 "(비핵화를) 서두르면 스토브에서 칠면조를 서둘러 꺼내는 것과 같다"며 "이제 요리가 되고 있고, 여러분들이 아주 만족할 것이지만 서두르면 안 된다"고 말했다. 서두를수록 나쁘고, 오래 할수록 더 좋아질 것이라는 의미다.
당초 일괄타결 방식에서 "한 번에 모든 걸 해결할 수 없다"며 단계적 해법을 시사하던 미국 측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장기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가운데 미국이 북한을 16년째 최악의 인신매매국가로 지정하면서 앞으로 북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강제노동 상황을 짚어 북한의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미국은 비핵화 협상과는 별개로 인권 문제를 확실히 짚고 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번 북미협상에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