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DMZ)에 멸종위기 101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929종이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동부 해안, 동부 산악, 서부 평야 등 DMZ 일원 3개 권역의 생태계를 조사하고 1974년부터 누적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5929종은 곤충류 2954종, 식물 1926종,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17종, 조류 277종, 거미류 138종, 담수어류 136종, 포유류 47종, 양서·파충류 34종이다.
이중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은 사향노루·수달 등 포유류 6종, 검독수리·노랑부리백로 등 조류 10종, 수원청개구리(양서류), 흰수마자(담수어류) 등 총 18종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은 가는동자꽃·가시오갈피나무 등 식물 17종, 담비·삵 등 포유류 5종, 개리·검은머리물떼새 등 조류 35종, 구렁이·금개구리 등 양서·파충류 5종, 애기뿔소똥구리 등 육상 곤충 5종, 가시고기 등 담수어류 11종, 대모잠자리·물방개 등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5종 등 총 83종이다.
특히 희귀종인 등뿔왕거미가 지난해 6월 민통선 이북 지역인 연천군에서 발견됐다. 2006년 월악산에서 국내 최초로 보고된 이후 첫 발견이다.
DMZ 일원에 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01종은 환경부가 지정한 우리나라 멸종위기 267종의 37.8%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