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부동산시황]양도세 중과 한달, 서울 아파트값 4분의 1로 ‘뚝’
조정지역 매매량 감소폭 커, 강남·과천 70% 이상 급감
서울 재건축 2주 연속 하락… 일반 아파트값도 둔화세
대출규제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시행 한 달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37%로 직전 한 달 변동률(1.44%)의 4분 1 수준으로 둔화됐다.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급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과 경기도부동산포털 공개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4월 한 달간 직전 대비 54% 줄어든 6307건이 거래되고, 경기는 31% 줄어든 1만1488건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집값 상승을 주도한 ‘강남4구’와 ‘마·용·성’에서 60% 이상 거래량이 급감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75%) ▲성동(72%) ▲서초(70%) ▲용산(67%) ▲송파(67%) ▲마포(63%) ▲강동(60%) 순으로 거래량이 감소했다.
경기는 조정대상지역인 ▲과천(73%) ▲성남(62%) ▲하남(51%) ▲광명(51%) ▲고양(48%) 등의 거래량 감소폭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4%의 변동률에 그치면서 상승폭이 더 둔화됐다. 서울 재건축아파트는 -0.01%의 변동률을 기록해 2주 연속 하락했다. 일반아파트도 0.05%의 상승률을 보이며 지난해 9월 3주(0.06%)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밖에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서울은 강북권 지역의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매매가격이 오른 지역은 ▲중구(0.22%) ▲성북(0.19%) ▲용산(0.14%) ▲관악(0.12%) ▲강서(0.10%) ▲동작(0.10%) ▲구로(0.09%) 순이다. 반면 송파는 -0.02% 떨어졌다.
신도시는 ▲분당(0.02%) ▲광교(0.02%) 두 곳만 올랐다. 일산은 0.07%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대부분 보합에 머무르며 조용한 가운데 ▲평택(-0.42%) ▲안산(-0.13%) ▲화성(-0.03%) ▲김포(-0.01%) 등이 내림세를 이어갔다. 이에 비해 ▲용인(0.03%) ▲안양(0.03%) ▲성남(0.03%) 등은 소폭 올랐다.
전세시장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7주 연속 마이너스 변동률인 서울은 전주와 동일하게 0.04% 떨어졌다. 전세수요가 줄어들고 매물은 늘어나면서 입주물량이 집중된 지역은 노후아파트 위주로 전셋값 하락폭이 컸다. 서초, 위례 등의 고가아파트가 밀집된 지역은 상대적으로 새 아파트들이 먼저 하락조정을 나타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3% 떨어졌다.
서울은 ▲서초(-0.31%) ▲금천(-0.26%) ▲마포(-0.19%) ▲도봉(-0.15%) ▲양천(-0.12%) 지역이 하락했다.
신도시는 ▲위례(-0.32%) ▲판교(-0.11%) ▲일산(-0.03%) ▲평촌(-0.01%) 지역이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평택(-0.37%) ▲안산(-0.25%) ▲시흥(-0.05%) ▲안양(-0.05%) ▲의왕(-0.05%) ▲용인(-0.03%) 지역이 하락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부동산 규제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며 서울 재건축은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일반아파트 상승률도 둔화됐다”며 “이달부터 신혼부부 아파트 특별공급 분량이 확대되는 등 지난해 기존주택 시장을 주도한 30~40대 수요층들이 분양시장으로 옮겨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