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시작·중단·재개·철거, 남북관계 부침의 역사 대북 확성기


입력 2018.04.30 15:37 수정 2018.04.30 15:42        김희정 기자

軍, 5월1일 철거 작업 시작

판문점 선언 후 첫 후속조치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대북 확성기 시작과 중단, 재개 등 일지. ⓒ데일리안

내달 1일부터 휴전선 일대에 설치된 우리 대북 확성기가 철거작업에 들어간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5월 1일부터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군사분계선 일대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 철거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군은 지난 23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다.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등 핵동결 선언 따른 선제적 조치였다. 이로서 냉전 시대 산물이자 심리전 도구였던 대북 확성기 방송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그간 중단과 재개, 철거와 복구를 반복해왔다.

우리군은 1962년 북의 대남 확성기 방송에 대한 대응조치로, 1963년 5월 1일 서해 MDL 일대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남북은 2004년 6월 4일 제2차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서해 우발충돌 방지와 군사분계선 일대 선전활동 중지'에 합의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시설을 철거했다.

그러나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 2015년 북의 DMZ 지뢰 도발, 2016년 1월 북의 제4차 핵실험 등 일련의 사건들로 대북 확성기 방송의 중단과 재개를 오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에서 "남과 북은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근원으로 되는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했다.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