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행연합회 등 21개 금융유관기관, 4일 금융범죄 대응 회의 개최
금융회사 피해예방 활동 수준 평가 시스템 도입키로…홍보 및 교육도 확대
최근 피해가 극심한 보이스피싱 범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 등 금융유관기관들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금융감독원과 은행연합회 등 21개 금융유관기관은 4일 오후 여의도 금감원 대회의실에서 2018년도 '민생침해 금융범죄 척결을 위한 범금융권 협의체' 회의를 갖고 보이스피싱과 유사수신 등 금융범죄 척결에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동안 금감원 등 유관기관이 금융범죄 척결에 총력을 기울여 왔으나 보이스피싱에 의한 대국민 피해는 2016년 1924억원에서 2017년 2423억원(3만1000여명)으로 오히려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루 당 보이스피싱 피해자만 90여명, 피해액이 7억원에 이르는 수치다.
감독당국은 최근들어 금융범죄 수법이 악질적이고 피해가 광범위하며 특히 서민층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등 사회 불안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및 첨단통신기술과 결합해 교묘하게 진화하고 있고, 범죄가 조직화됨에 따라 특정 기관의 노력만으로 대처가 쉽지 않다는 판단이다.
이에 금감원과 범금융권은 국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금융회사의 금융범죄 피해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금융회사의 피해예방 활동 수준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업권별 연수원을 통해 금융회사 임직원들의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홍보 동영상을 공동 제작하는 등 전국민을 대상으로 금융범죄 방지 캠페인을 전개하는 한편 정보 공유를 통해 단속 기반 역시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과 금융권이 공동으로 금융범죄 의심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보이스피싱 허위피해신고자 및 상습적인 대포통장 양도혐의자 정보를 기관 간에 공유해 금융범죄 단속 기반을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