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지방선거 D-90] 안철수 복귀 초읽기, 서울시장 구도 지각변동


입력 2018.03.15 13:30 수정 2018.03.15 15:27        조동석 기자

輿 미투 후폭풍 휘청…자유한국당 이석연 영입 추진

安 출마 가시화 땐 야권 묵시적 연대 가능성 점쳐져

輿 미투 후폭풍 휘청…자유한국당 이석연 영입 추진
安 출마 가시화 땐 야권 묵시적 연대 가능성 점쳐져


6·13 지방선거를 90일 앞둔 15일 서울시장 구도가 안갯속이다. 당초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이 예상됐지만, 미투 후폭풍이 몰아치면서 여당 경선 흥행에 빨간불이 켜졌다.

박원순 서울시장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행 의혹에 채 가시기도 전,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던 민병두 의원은 미투 의혹이 나오자마자 의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정봉주 전 의원은 성추행 의혹이 불거지자 출마 기자회견을 취소했고, 현재 민주당 지도부의 복당 심판을 기다라고 있다.

아울러 충남도지사 예비후보였던 박수현 전 청와대 대변인의 불법 공천과 불륜 의혹에 민주당 지도부는 자진사퇴를 권고하며 미투 후폭풍 차단에 나섰다. 박 전 대변인은 결국 중도 포기했다.

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로는 공식 출마를 선언한 우상호 의원 정도다. 물론 박원순 현 서울시장의 출마는 예정돼 있고, 박영선 의원도 곧 출마선언한다.

5명의 후보가 경쟁을 벌일 때보다 무게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야권은 여권의 미투 후폭풍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기회를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자유한국당의 서울시장 후보는 잘 보이지 않는다. 한국당은 당초 홍정욱 헤럴드 회장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후보로 검토했지만, 이들 모두 불출마 입장을 보였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에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전 처장은 지난 2011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도 당시 박원순 후보와 맞서는 범여권 단일 후보로 출마를 준비했지만, 지지율이 크게 오르지 않아 출마 선언 14일 만에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 전 처장은 우파 진영의 대표적인 시민운동가다. 지난 2004년 노무현 정부의 수도 이전에 반대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해 승소를 이끌어냈고, 이명박 정부에서는 초대 법제처장을 역임했다.

아울러 야권의 핵심 인물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다. 조만간 당무 복귀가 유력시되는 가운데, 그의 출마 여부가 서울시장 선거판을 요동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당 복귀는 당직을 맡아 당 운영에 공식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인재영입위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대표는 지난달 13일 당의 공식 출범과 함께 백의종군을 선언한 지 한 달밖에 지나지 않아 복귀에 부담감을 느꼈으나 당 지지율이 정체 상태에 빠지면서 당원들의 등판 요구가 강해지자 결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만약 안 전 대표가 서울시장에 출마할 경우, 야권의 묵시적 연대 가능성이 점쳐진다.

조동석 기자 (dsc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동석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