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후폭풍…사업 '고? 스톱?' 눈치보기
목동 14개단지, 예비 안전진단 통과…일부 단지, 용역선정 취소·상황 예의주시
재건축 아파트 안전진단 강화의 후폭풍이 거세다. 정부 정책의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는 물론,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당 후보의 낙선운동에 착수하기도 하는 등 재건축 추진 단지 입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단지들마다 사업 추진 모습은 제각각이다. 가장 많은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모여 있는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재건축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일부 단지들은 안전진단 용역계약 준비 도중 입찰을 취소하는 등 사업 추진을 미루기도 했다.
1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양천구청이 지난 7~8일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14개 단지 모두 예비 안전진단(구청 환경평가)을 통과했다.
앞서 목동신시가지 아파트는 지난달 말 14개 단지 2만7000가구 모든 소유주가 일제히 예비 안전진단 동의서를 걷어 구청에 제출한 바 있다.
양천시민연대 관계자는 “현재 정밀 안전진단 통과 여부를 논할 수는 없지만 목동 2만6000여가구의 엄청난 추진력과 결속력으로 이번 예비 안전진단 통과를 이뤄냈다”며 “국내 재건축 역사상 전무후무하게 가장 빠르게 재건축 사업에 첫 발을 들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 정밀 안전진단 신청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 지난 5일부터 시행된 강화된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적용받으면 안전진단을 통과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목동역 인근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정부의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발표 이후 계속 호가가 떨어지는 분위기지만, 예비 안전진단이 통과된 현 상황에서 다시 이전 시세를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며 “오히려 정밀 안전진단을 신청했다가 실패할 경우 집값 하락도 문제지만 거래 자체가 이어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안전진단 용역업체 선정을 준비 중이던 강남구 개포우성5차, 강동구 고덕주공9단지, 송파구 아시아선수촌, 노원구 태릉우성아파트 등의 재건축 단지들은 잇따라 입찰 공고를 취소했다.
강화된 안전진단 기준을 적용 받다가 자칫 통과하지 못하면 용역비만 날릴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대단지 재건축 단지의 용역비는 1억~2억원 정도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예비 안전진단을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재건축 사업이 착수되기까지는 10년 정도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며 “예비 진단 통과 이후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밀 진단 신청은 눈치 보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는 “입찰 공고를 취소한 단지들도 당분간 재건축 추진 일정을 진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강화된 안전기준을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사업 추진을 늦추되 상황을 예의주시해 시기를 보겠다는 의도”로 풀이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