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한민국 보통사람 월 평균 438만원 벌어 절반 소비


입력 2018.03.12 13:34 수정 2018.03.12 13:34        이나영 기자

신한은행, '2018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발표

우리나라 보통사람은 월 소득 438만원 가운데 이중 절반은 생활비, 교육비 등에 소비하고 41만원은 빚을 갚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신한은행

우리나라 보통사람은 월 소득 438만원 가운데 이중 절반은 생활비, 교육비 등에 소비하고 41만원은 빚을 갚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이 12일 발표한 '2018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만 20~64세 보통사람 전체의 월 평균 가구 총소득은 438만원이다.

438만원 중 49.8%에 해당하는 218만원은 생활비, 교육비, 주거비 등에 쓰고 22.9%에 해당하는 100만원은 저축을, 9.3%인 41만원은 부채상환에 각각 소비했다.

소득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출하는 금액을 모두 제외하고 남은 잉여자금은 79만원으로 소득의 18.0%를 차지했다.

월 평균 소비액 218만원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식비(42만원)과 교육비(25만원)이었다. 40대는 총 소비액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8.3%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교육비는 30대 15만원에서 40대 48만원으로 약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 여부에 따른 월 평균 가구 총소득은 미혼 260만원, 기혼은 미혼 대비 약 2배 높은 524만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혼 중 맞벌이 가구의 월 총소득은 573만원이다.

대한민국 평균 총 자산은 3억2501만원이고 이 중 3분의 2가 부동산 자산이었다. 보통사람의 절반이 내 집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30% 가량은 부동산이 2채 이상에 달했다.

현 전세 거주자가 보증금을 보태고 생활비 외 남은 돈을 모두 모아 서울에서 아파트를 구입하기까지는 20년 넘게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월 평균 가구 총 소득 중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대와 30대는 40%대인 반면 40대 이상이 되면 52%로 과반을 넘게 된다"며 "전반적으로 자녀 교육에 힘쓰게 되는 40대부터는 소득 증가분만큼 소비가 늘어남으로써 저축 증가분은 10만원으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 모든 연령층에서 월 소득의 20% 이상을 차지했지만 특정 목적 없이 예비용으로 남겨두는 잉여자금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 비중이 높아 보다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