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남북관계 훈풍, 이산가족상봉·개성공단 재개로 이어질까


입력 2018.03.08 05:00 수정 2018.03.08 05:57        박진여 기자

南北 민간교류 확대…정상회담 전 적십자회담 개최 가능성

대북 특별 사절단은 이번 방북을 통해 남북정상회담, 비핵화, 북미대화, 남북관계 개선 방안 등 굵직한 현안을 협의했다.(자료사진) ⓒ청와대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 등 남북관계가 급물살을 타면서 그동안 꽉 막혀 있던 남북간 교류 협력이 재개될 지 주목된다. 중심에는 이산가족 상봉과 개성공단 재개가 있다.

대북 특별 사절단은 이번 방북을 통해 ▲4월말 남북정상회담 개최 ▲정상 간 핫라인 설치 ▲북한 체제안전 조건의 비핵화 ▲비핵화 의제로 한 북미대화 등에 합의했다.

북한의 전향적인 태도에 숨은 의도가 주목되고 있지만, 남북관계가 한 단계 진일보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우리 정부의 가장 시급한 과제 중 하나는 이산가족 상봉이다. 문재인 정부는 첫 대북제의로 남북 적십자회담을 꺼내들었다. 별다른 진전이 없자 지난 1월 남북 고위급회담에서도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재차 제안했다.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적십자회담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우리 정부의 가장 시급한 남북 과제는 이산가족 상봉이다.(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이에 따라 남북 정상회담 전 이산가족 상봉이 개최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북한의 태도 변화도 이 같은 기대에 힘을 싣고 있다. 북한은 앞서 이산가족 상봉의 조건으로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집단 탈출한 여종업원 12명과 김련희 씨의 송환을 요구했다.

그러나 최근 특사단이 남북을 오가면서 북한은 추가 교류 대책을 주문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이산가족 상봉 추진 여부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아울러 개성공단 재가동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개성공단기업 관계자들은 최근 시설 점검 등을 위해 정부에 방북 신청서를 제출했다.

개성공단기업 관계자는 “이번에 큰 기대를 거는 이유는 올림픽을 계기로 경의선 육로와 바닷길이 열렸고 군 통신선이 복원됐다. 희망을 봤다”면서 “남북 평화 무드가 평화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재개로 이어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3월 12일 입주기업 관계자 200여 명이 개성공단을 찾아 시설 점검 등을 하겠다며 방북 승인을 촉구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이들은 지난 1월 남북고위급회담에 개최 당시 파주시 통일대교에 집결해 회담 성공을 기원하는 현수막을 펼치며 대표단을 배웅하기도 했다.

이처럼 남북 교류 확대 분위기로 이산가족 상봉과 개성공단 재개, 금강산 관광 등 민간 교류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곳곳에 번지고 있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북한이 최근 평화공세에 나선 것은 제재 국면 전환 의도가 깔려 있다는 지적이다. 전례없이 강력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턱 밑까지 오면서, 남북관계 개선을 통한 비상 탈출구를 모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