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테러경보 '주의'→'경계'로…올림픽보다 더한 패럴림픽 테러대비


입력 2018.03.05 16:30 수정 2018.03.05 16:27        김지수 수습기자

호평 받은 드론·얼굴인식 등 최첨단 장비 패럴림픽서도

'장애인행사'감안 인력증원…선수단·관람객 편의·안전↑

2017년 8월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드론테러 및 재난대응 종합훈련이 실시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호평 받은 드론·얼굴인식 등 최첨단 장비 패럴림픽서도
'장애인행사'감안 인력증원…선수단·관람객 편의·안전↑


정부가 평창 동계패럴림픽을 앞두고 테러대비태세를 강화한다.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센터장 문영기)는 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센터장 주재로 테러대책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가정보원, 국방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와 경찰청, 소방청,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등 16개 관계기관 위원들(국장급)이 참석해 평창동계올림픽 대테러안전활동을 평가하고, 안전한 패럴림픽 개최를 위해 각 기관별 임무 분담 및 조정 방안을 종합 점검했다.

대테러센터는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해서는 '대테러안전본부(대테러센터·국정원 공동)'와 관계기관의 노력 덕에 올림픽 기간 동안 별다른 사고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고 평가했다. IOC와 해외언론 등이 '완벽하게 안전한 올림픽'이라고 호평한 점도 언급했다.

이에 정부는 평창올림픽 때와 동일하게 '대테러안전본부'를 중심으로 평창 현지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전 경기장과 선수촌에 '현장안전통제실'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패럴림픽 개막식을 사흘 앞둔 6일부터는 서울·인천·경기·강원 지역의 테러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조정해 대테러안전활동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아울러 평창올림픽에서 호평을 받은 ▲드론 탐지 레이더 및 전파차단, ▲테러위험인물 지문검색, ▲얼굴인식시스템 등 최첨단 장비들을 패럴림픽에도 투입한다.

▲AD카드 위·변조 및 무단 도용, ▲일부 바이애슬론 선수들의 실탄 반입, ▲위험물 반입 기도 등 올림픽 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보완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패럴림픽이 장애인 스포츠 행사인 점을 감안해 운영 인력을 올림픽 때보다 증원한다. 올림픽의 경우 선수 6명당 1명의 소방인력을 배치했지만, 패럴림픽 때는 선수 2.3명당 1명을 배치할 예정이다.

김지수 기자 (jskim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지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